ADVERTISEMENT

SK팜테코, 美 세포∙유전자치료제 기업 CBM 인수...글로벌 1위 노린다

중앙일보

입력

SK㈜의 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 자회사 SK팜테코가 미국 세포·유전자 치료제(CGT) CDMO 기업 ‘CBM’(The Center for Breakthrough Medicines)을 인수했다고 20일 밝혔다.

미국 펜실베이니아주에 있는 CBM 시설 전경. 사진 SK팜테코

미국 펜실베이니아주에 있는 CBM 시설 전경. 사진 SK팜테코

SK팜테코는 지난해 1월 미국 내 바이오 사업 강화를 위해 CBM에 3억5000만 달러(약 4600억원)를 투자한 당시 확보한 추가 투자 권리를 이번에 행사했다. 이를 통해 CBM의 1대 주주로 올라서며 경영권을 확보했다.

이 회사 관계자는 “CBM 인수로 전 세계 의약품 시장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미국과 유럽 양대 시장에서 합성 의약품과 세포·유전자 치료제 모두를 아우르는 현지 공급망을 완성했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 2021년 SK팜테코는 프랑스 세포·유전자 치료제 CDMO 기업인 ‘이포스케시’(Yposkesi)를 인수하며 유럽 생산 거점을 확보한 바 있다. CBM 인수로 미국 시장에서도 기반을 마련한 만큼 향후 이포스케시와의 통합 운영을 통해 ‘글로벌 1위 CGT CDMO’로 자리매김하겠다는 전략이다. 미국과 유럽에서 합성 의약품과 세포·유전자 치료제 분야의 공정 개발·상업 생산을 모두 할 수 있는 CDMO 기업은 SK팜테코를 제외하면 5곳 정도다.

CBM은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세포·유전자 치료제 특화 바이오 클러스터인 ‘셀리콘밸리’에 6만5000㎡(약 2만평) 규모의 시설을 건설 중이다. CGT 단일 생산시설 기준 세계 최대다.

현재 일부 완공된 시설에서는 치료 DNA를 삽입한 바이러스 기반 유전자 전달체인 ‘바이럴 벡터’의 GMP 시설(우수 의약품 제조·관리 기준을 갖춘 곳)을 운영 중이다. 개발·분석 연구실도 들어섰다.

내년에는 세포 치료제와 세포·유전자 치료제의 원료인 플라스미드 GMP 생산시설도 구축할 예정이다. 이 시설이 완공되면 원료부터 완제품 개발·생산·분석까지 전 과정이 한 곳에서 이뤄져 시간과 비용을 아낄 수 있게 된다. SK팜테코 관계자는 “대규모 생산 시설을 통해 위탁 수요 증가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요그 알그림 SK팜테코 사장은 “SK팜테코는 전 세계 제약사들이 새로운 치료법과 신약을 개발하는 데 투자하는 막대한 노력이 현실로 이뤄지도록 지원할 것”이라며 “그 과정에서 CBM이 보유한 역량이 큰 힘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연태 SK㈜ 바이오투자센터장은 “차별적 경쟁력을 보유한 CBM 인수는 SK팜테코가 미국 바이오 의약품 시장에서 성장하는 데 큰 원동력이 될 것”이라고 자신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