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4일 일본이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를 해양에 방류하기 시작한 이후 국내에서 가시적인 수산물 소비 위축은 나타나지 않고 있다.
박성훈 해양수산부 차관은 4일 “방류 직후인 8월 24~29일 6일간 대형마트 3사의 수산물 매출액이 (방류 직전인) 8월 17~23일 7일간 매출액의 103% 수준으로 나타났다”며 “8월 24~25일 대형마트 3사의 수산물 매출은 지난해 동기 대비 68.1% 늘었다. 방류 전인 8월 22~23일보다는 46.7% 늘었다”고 설명했다.
해수부에 따르면 8월 24~27일 수산 외식업 1000개소의 매출은 방류 전인 8월 20~23일 대비 3.8% 감소했다. 하지만 횟집 30개소 매출은 13.2% 증가했다. 방류 직후 첫 주말인 8월 25~27일 노량진 소매점 매출은 방류 1주일 전인 8월 18~20일 대비 14.6% 늘었다. 노량진 식당 매출은 21.2% 증가했다. 수협 유통 직영 매장 매출은 68.2% 증가했다.
국내 한 대형 카드사가 오염수 방류를 시작한 지난달 24~30일 자사 고객의 카드사용 금액을 분석한 결과도 비슷하다. 이 카드사 고객이 노량진수산시장에서 쓴 금액은 전주(17일~23일)보다 48.6% 많았다. 같은 기간 이용 회원 수는 전주보다 34.5%, 매출 건수는 39.7% 늘었다.
간접적으로 수산물 판매량을 알 수 있는 수도권 대표 도매시장 판매점의 부산물 배출량을 조사한 결과, 노량진시장·가락시장·구리시장 배출량이 지난해보다는 8.6% 줄었으나 방류 전보다 11.9% 증가했다. 박 차관은 “방류 전보다 오히려 부산물 배출량이 늘어난 것으로 볼 때 소비량이 간접적으로 늘어났다고 주장할 수 있을 것 같다”며 “다만 이 부분은 기간도 짧고 장기적인 추이를 봐야 하므로 말씀드리기 조심스러운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