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1인가구 1000만가구 코앞...전연령대서 증가, 70대 가장 많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도시화와 고령화에 따라 1인 가구 수가 갈수록 늘어 1000만 돌파를 앞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4월 서울 마포구 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서 한 고령 구직자가 일자리 정보 게시판을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4월 서울 마포구 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서 한 고령 구직자가 일자리 정보 게시판을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22일 행정안전부가 발간한 2023 행정안전통계연보에 따르면 2022년 12월 31일 기준 주민등록인구는 5143만 9038명으로 3년 연속 감소했다. 주민등록세대는 2370만 5814세대다.

이 가운데 1인 세대가 972만 4256세대로 전체 41.0%를 차지했다. 1인 세대 비중은 2021년 말 40.3%(946만 1695세대)로 사상 처음 40%를 돌파했는데 1년 만에 0.7%포인트나 높아진 것이다.

1인 세대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70대 이상이 19.1%(185만 5150세대)로 가장 많았으며 그다음은 60대 18.1%(175만 8095세대)였다. 이를 합치면 60대 이상이 37.2%로 3분의 1이 넘는다. 여기에 50대 이상 1인 가구(161만 6451세대)까지 더하면 약 523만 세대로 과반이다.

이어 30대(163만 4274세대), 20대(52만 1514세대), 40대(129만 7192세대) 순으로 1인 세대가 많았다. 1인 세대는 전 연령대에서 증가하는 추세다. 전년 대비 증가율은 20대 2.7%, 30대 3.8%, 60대 4.3%, 70대 이상 5.4%다.

주민등록인구 5143만 9038명은 전년(5163만 8809명)보다 0.39%(19만 9천771명) 줄어든 수치다. 주민등록인구는 2019년 말 5184만 9861명에서 2020년 말 5182만 9023명으로 줄어든 이후 3년 연속 감소했다.

고령화 심화 속에 평균연령은 44.2세로 전년(43.7세)보다 0.5세 높아졌다. 남성 43.1세, 여성 45.3세로 여성이 2.2세 높았다. 시도별 평균연령은 전남이 48.0세로 가장 높으며 경북 47.5세, 강원 47.0세, 전북 46.8세, 부산 46.1세 순이다. 가장 낮은 지역은 세종으로 38.1세다. 가장 인구가 많은 연령은 51세(1971년생)로 93만명이다.

한편 행안부는 누리집(www.mois.go.kr) ‘정책자료→통계→통계연보·주제별 통계’에서 전자파일로 이러한 통계연보를 제공하고 있다. 인구 통계를 포함해 ▶정부조직 ▶행정관리 ▶디지털정부 ▶지방행정 ▶지방재정 ▶안전정책 ▶재난관리 등 8개 분야 328개 통계가 수록됐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