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군 교육용 드론 100여대 날리자마자 추락…'중국산 가능성' 조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자유의 방패(FS) 연습이 진행된 지난 3월 20일 오후 경기도 안산시의 한 국가중요시설에서 육군 장병들이 적 드론 공격 상황을 가정한 통합방위 상황조치훈련을 하고 있다. 사진은 기사와 무관. 연합뉴스

자유의 방패(FS) 연습이 진행된 지난 3월 20일 오후 경기도 안산시의 한 국가중요시설에서 육군 장병들이 적 드론 공격 상황을 가정한 통합방위 상황조치훈련을 하고 있다. 사진은 기사와 무관. 연합뉴스

지난해 말 북한 무인기 침투 사건을 계기로 우리 군도 무인기 전력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런데 최근 육군이 전국에 도입한 드론이 띄우자마자 곧바로 추락하는 결함이 잇따라 발생해 군경찰이 조사에 착수했다.

22일 군 관계자에 따르면 국군재정관리단은 지난해 9월 ‘교육용 사용 드론’ 입찰 공고를 내 국내 제조업체 한 곳과 11억8000만원에 드론과 통제장비 651대를 계약했다.

낙찰받은 국내 제조업체가 지난 1월 드론을 납품했고 육군은 대대급 부대까지 보급해 이번달부터 운용을 시작했다. 하지만 드론 651대 가운데 100여대가 이륙하자 마자 줄줄이 추락하는 상황이 연속적으로 발생했다.

문제가 발생하자 육군은 드론 사용을 전격 중지했고 군사경찰은 낙찰과 납품 과정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다. 군경찰은 납품업체가 직접 드론을 제조하지 않고 중국산 제품을 사들인 뒤 납품했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수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해 업체 측은 배터리와 프로펠러, 변속기 등 부품들을 중국에서 수입했지만 국내에서 조립해 납품했다고 해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육군은 해당 드론이 작전용 무기체계가 아니라 장병들의 장비 조작 숙달을 위해 구매한 제품이라며 “일부 부대에서 문제점이 식별돼 전수 조사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육군은 또 “납품과정에서 업체의 허위 서류 제출 등 추가로 의혹이 있어 현재 군경찰에서 면밀하게 조사중”이라며 “조사 결과에 따라 엄정조치 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