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부산 사람이 세종시로 더 많이 이주…수도권 인구 분산 정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8면

서울에서 세종시로 이주한 뒤 정착한 인구가 지난해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서울보다 부산 등에서 이주한 사람이 더 많았다. 이에 따라 수도권 인구 분산이라는 세종시 건설 취지와 어긋난다는 지적이 나온다.

29일 대전세종연구원이 발간한 6월호 인포그래픽스 ‘2022년 세종시 인구, 어디로 이동했을까’에 따르면 지난해 세종에 순유입한 인구 1만128명 중 서울 출신은 342명(3.3%)에 불과했다. 2012년 세종시 출범한 이래 가장 적다. 인구 통계에서 순유입은 인구 증가를 가늠할 수 있는 지표다.

지난해 서울에서 세종으로 이사한 전입자 수는 4892명이다. 세종서 서울로 전출한 인구는 4550명으로, 전입자 수와 큰 차이가 없어지면서 서울 순유입 인구가 큰 폭으로 감소했다. 2021년에는 918명이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에도 부동산 거래가 활발하던 2020년(439명)보다는 97명 줄었다.

서울·경기도 등 수도권 유입 인구는 충청권과 함께 지난 10여년 간 세종시 인구 증가를 견인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서울·경기도 출신을 합친 세종 순유입 인구 비율은 2015년 23.3%(1만2409명)으로 가장 높았다가 2020년을 제외하면 13~16%대 수준이다. 지난해 서울서 온 순유입 인구는 경남(394명)·전북(376명)·부산(371명)보다 적다.

세종 순유입 중 경기도 출신 이주자도 감소 추세다. 2015년 7087명으로 가장 많았다가 이듬해 3693명으로 많이 감소했다. 세종시 인구는 출범 이듬해인 2013년 12만2000여명에서 지난 5월 기준 38만6000여 명으로 증가했다.

대전세종연구원 최성은 책임연구위원은 “국회 세종의사당 건립이나 대통령 세종 집무실 설치, 수도권에 있는 중앙행정기관 추가 이전이 이뤄진다면 인구증가와 정주 여건 조성에도 탄력이 붙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