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각국 정상이 프랑스 파리 엘리제궁을 방문했을 당시 탄 차. (왼쪽부터)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 왕세자가 탄 벤츠, 조르자 멜로니 이탈리아 총리가 탄 마세라티, 윤석열 대통령이 탄 르노. 사진 온라인 커뮤니티 캡처
2030 부산엑스포 유치를 위해 프랑스를 찾은 윤석열 대통령이 현지에서 의전 차량 홀대를 받았다는 주장이 더불어민주당 지지층 사이에서 제기됐다.
하지만 이는 사실과 달랐다. 윤 대통령만 프랑스 정부가 제공한 차를 탔고, 일부 국가 정상들은 자국 대사관 차를 이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20일(현지시간) 윤 대통령은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위해 파리 엘리제궁을 찾았다.
공개된 당시 영상을 보면, 윤 대통령이 타고 온 차는 프랑스 르노 그룹의 SUV 차량이었다.
해당 영상이 퍼지자 친야 성향의 네티즌들은 이 영상을 비슷한 시기 엘리제궁을 방문했던 다른 2개국 정상들의 모습과 비교한 게시물을 만들어 올렸다.
메르세데스 벤츠 차를 타고 온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와 마세라티 차를 타고 온 조르자 멜로니 이탈리아 총리가 비교 대상이 됐다.
살만 왕세자가 탄 차량은 국내에선 판매되지 않는 벤츠 S680 모델이다. 가격은 약 3억7000만원이다. 방탄 기능까지 더해지면 6억원을 훌쩍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멜로니가 탄 차량은 마세라티의 대형 세단 콰트로포르테로, 차량가는 약 1억8000만원이다. 반면 윤 대통령이 탄 르노사 차량은 에스파스 모델로 앞서 언급한 차들보다 상대적으로 저렴(약 5000만원)하다.
이에 친야 성향의 네티즌들은 프랑스 정부가 사우디아라비아나 이탈리아 정상에겐 고가의 의전 차량을 제공하고, 윤 대통령에겐 그보다 싼 가격의 차를 지급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이러한 주장은 사실과 달랐다.
외교 소식통에 따르면, 당시 윤 대통령은 프랑스 정부가 제공한 의전용 차량을 그대로 이용했다. 반면 사우디아라비아와 이탈리아 정상은 프랑스 정부 제공 차량을 사양하고, 현지 자국 대사관 차량을 이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비교 게시물 속 벤츠와 마세라티의 번호판을 보면, 해당 2개국 정상이 타고 온 차는 프랑스에서 타국 대사관에 지급하는 초록색 번호판이 붙어 있다.
한편 윤 대통령 외에도 마크롱 대통령을 만나면서 프랑스 정부가 제공한 르노 차를 탄 정상은 여럿 있었다.
외신에 따르면, 스페인 국왕 필리페 6세는 지난 2020년 3월 마크롱 대통령을 만나기 위해 엘리제궁을 찾았을 당시 르노 마크가 달린 차를 탔다. 같은 해 아르메니아 대통령도 르노를 의전 차량으로 받았다.
지난해 5월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엘리제궁을 찾았을 때 탄 차량도 르노였다. 올해도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가 지난 2월 르노 차를 타고 엘리제궁에 갔다. 르노 에스파스는 마크롱 대통령도 애용하는 차량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