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기후테크에 145조 쏟아붓는다…탄소중립·녹색성장 둘다 잡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난 3월 한덕수 국무총리가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열린 '기후테크 벤처·스타트업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3월 한덕수 국무총리가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열린 '기후테크 벤처·스타트업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탄소중립·녹색성장 두 마리 토끼를 잡는 '기후테크' 산업 키우기에 나선다. 2030년까지 145조원을 투입해 유니콘 기업 10개를 키우는 한편, 기후테크 관련 수출 100조원도 달성한다는 목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2일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탄녹위) 전체회의에서 '기후테크 산업 육성전략'을 공개했다. 기후테크 산업은 온실가스 감축·기후변화 적응 기술을 활용하는 연관 산업을 뜻한다. 예를 들어 CCUS(이산화탄소 포집·활용·저장)나 AI(인공지능) 로봇을 통한 폐기물 재활용 등이다.

이러한 시장은 세계 각국의 투자 속에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기후테크 산업 규모는 2016년 169억 달러에서 2032년 1480억 달러(약 192조원)로 커질 전망이다. 정부도 국내 기후테크 기업들의 성장 모델 창출이나 수출 산업화 등을 지원하면서 기술 확보, 시장 선점에 나서겠단 목표를 내세웠다. 이를 위해 연구개발(R&D)·투자 확대, 국내·외 시장 개척 지원 등을 다각도로 추진한다.

우선 2030년까지 기후테크 산업에 민·관 합동으로 145조원을 쏟아붓기로 했다. 대규모 투자를 통해 유니콘 기업(기업 가치 10억 달러 이상) 10개를 육성한다는 계획인데, 신규 일자리 10만개도 창출할 수 있다는 계산이다.

구체적으로 4000억원 이상의 정책펀드를 조성하고, 기업 ESG 활동과 연계한 2000억원 규모의 민간 투자도 활성화한다. 기후금융은 2030년까지 8조원 규모로 확대한다. 기후테크 분야 채권 발행·대출·PF를 비롯한 민간 5대 금융그룹 투자도 약 135조원 유치할 수 있게 지원한다. 또한 유망 기술이 산업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기술개발·실증·사업화를 연계한 1조원 규모의 대규모 R&D 신설도 추진키로 했다.

앞서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도 20일 탄녹위와 공동 개최한 녹색금융국제컨퍼런스에서 "전 세계적으로 기후테크 투자 자금이 2021년 450억 달러로 2년 새 3배 성장했고, 혁신적 기술이 놀라운 속도로 상용화되고 있다"면서 "앞으로 녹색금융 활성화를 위한 시장 조성 방안 등을 금융당국과 함께 모색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정부는 기후테크 부문의 빠른 사업화와 해외 시장 진출 지원으로 2030년 수출 100조원 달성도 추진한다. 공공 조달과 연계한 지원 사업 등으로 기업들의 초기 수요를 끌어올리는 한편, 탄녹위와 각 부처가 참여하는 기후산업규제혁신위원회에서 각종 규제도 개선한다는 목표다. 각 지역 특구·산단과 협력 체계를 맺어 투자설명회나 컨설팅 등을 지원하고, 기후산업 국제박람회와 연계한 글로벌 포럼의 역할도 키운다. 기후테크 기술 전문인력 양성 등에도 적극 나설 예정이다.

Innovation Lab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