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승윤 국민권익위원회 사무처장 겸 부패방지 부위원장이 지난 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자녀 특혜 채용 의혹 전수조사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선관위 특혜채용’ 전수조사에 나선 국민권익위원회가 경찰과 인사혁신처로부터 채용비리 전문인력을 파견받는다.
채용비리 수사 경험이 풍부한 수사관과 인사 관련 전문가를 투입해 선관위 특혜채용 조사의 속도를 높이겠다는 전략이다. 권익위 고위 관계자는 7일 중앙일보와의 통화에서 “경찰과 인사혁신처로부터 조사 인력을 파견받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파견 인력의 규모는 경찰의 경우 경감급 이하 인력으로 4~5명, 인사혁신처는 2~3명 정도가 될 예정이다.
이번 결정은 지난 1일 권익위의 선관위 특혜채용 의혹 조사 계획을 브리핑한 정승윤 부위원장 주도로 이뤄졌다고 한다. 권익위는 파견 인력을 받더라도 조사의 방식은 과거 한국토지주택공사(LH) 의혹 당시 정부 합동조사단 형식이 아닌 권익위 단독 조사로 진행하겠다는 방침이다. 권익위 관계자는 “경찰과 인사혁신처의 도움을 받겠지만, 조사 자체는 권익위의 베테랑 조사관 주도로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권익위의 선관위 특혜채용 의혹 조사와 관련해 김태규 부위원장(사진)도 연일 목소리를 내고 있다. 사진은 지난 2일 '춘천-속초 철도 현장조정회의'에서 발언하는 김 부위원장. 연합뉴스
권익위는 이번 조사 범위를 ‘지난 7년간 선관위 전 직급’을 대상으로 진행한다. 지난달 선관위는 자체 전수조사 계획을 공개하며 ‘5급 이상 간부’를 조사 대상에 올렸는데, 권익위 조사에선 그 범위가 확대된 것이다. 권익위가 조사 기간을 지난 7년으로 정한 건 채용비리 의혹을 통해 도출될 수 있는 직권남용죄와 업무방해죄의 공소시효가 7년인 점을 고려했다.
권익위의 이번 결정은 특혜채용 직무감사를 놓고 선관위와 감사원이 충돌하는 와중에 나왔다. 권익위가 감사원보다 앞서 선관위 조사에 속도를 내는 모양새다.

전현희 국민권익위원회 지난달 30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고위 간부들의 ‘자녀 특혜 채용’ 등 긴급 현안 관련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는 모습. 뉴스1
일각에선 이번 조사를 두고 문재인 대통령이 임명한 전현희 위원장이 임기 만료로 6월말 물러나는 상황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임명한 권익위 부위원장이 주도해 ‘윤석열 정부 권익위’의 존재감을 드러내려는 행보란 해석도 나온다. 권익위 관계자는 “국민 의혹이 없도록 선관위에 대해 성역없는 조사를 진행할 것”이라며 “전 위원장 역시 선관위 전수조사 계획의 필요성을 밝힌 바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