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악취 빨아들여 연300억 벌었다…인천 쓰레기산 갈색기둥 정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6면

지난달 31일 인천 수도권매립지에서 쓰레기 매립 중인 3-1 매립장 위에 갈색 기둥이 꽂혀 있다. 천권필 기자

지난달 31일 인천 수도권매립지에서 쓰레기 매립 중인 3-1 매립장 위에 갈색 기둥이 꽂혀 있다. 천권필 기자

인천시 서구 수도권매립지는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버린 쓰레기가 모이는 곳이다. 단일 매립지로는 세계 최대 규모다. 지난달 31일 이곳을 찾아 차를 타고 제2매립장 꼭대기까지 올라갔다. 5년 전 매립을 완료한 쓰레기산에 오르는 길은 곳곳이 패어있었다. “매립된 쓰레기가 압축·분해되면서 해마다 최대 1m까지 (매립장이) 가라앉고 있는데, 내려앉는 높이가 다르다 보니 길이 울퉁불퉁해졌어요.” 동행한 박영리 매립지관리공사 홍보부 과장이 설명했다.

수도권매립지에서 쓰레기 매립이 진행 중인 모습. 사진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수도권매립지에서 쓰레기 매립이 진행 중인 모습. 사진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쓰레기산 정상에 오르니 건너편에 현재 쓰레기 매립이 진행 중인 3-1매립장이 내려다보였다. 트럭이 쓰레기를 내리면 그 위를 흙으로 덮고 먼지가 날리지 않게 물을 뿌렸다. 마치 피라미드를 쌓듯 네모 모양으로 구역을 나눠서 쓰레기를 묻고, 매립이 끝나면 그 위에 또 한 층을 쌓는 방식이다.

매립 구역마다 갈색 기둥이 가지런히 꽂혀 있었다. 악취를 유발하는 매립가스를 포집해 발전소로 보내는 '수직 가스 포집정'이다. 세 개의 매립장에 이런 기둥 1267개가 꽂혀 있다. 기둥은 빨대처럼 쓰레기에서 나오는 가스를 뽑아내고 있다. 김진 매립지공사 에너지사업부장은 “기둥 안에 유공관을 넣어서 매립가스를 빨아들인 뒤에 발전소로 보내 전기를 만드는 데 쓴다”며 “현재 7만 가구가 쓸 정도의 전기를 생산 중인데 전력 판매 금액이 많이 올라서 작년에만 300억 정도의 수익을 올렸다”고 말했다.

매립지 반입 쓰레기 줄었지만…매립가스로 300억 번다 

수도권매립지 3-1 매립장에 꽂혀 있는 수직가스포집정. 사진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수도권매립지 3-1 매립장에 꽂혀 있는 수직가스포집정. 사진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매립지공사가 매립가스에 주목하는 이유 중 하나는 쓰레기 반입으로 벌어들이는 돈이 해마다 빠르게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매립지공사에 따르면, 총 폐기물 반입량은 2018년 374만t(톤)에서 지난해 177만t으로 절반 이상 줄었다. 매립지가 포화할 시기가 다가오면서 반입총량제를 시행하는 등 쓰레기 반입을 엄격하게 제한했기 때문이다.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또 지난해부터 건설폐기물을 바로 매립하는 게 금지되고 반입수수료 단가까지 오르면서 1년새 반입량이 40% 가까이 감소했다. 올해에도 5월까지 반입량이 54만t에 그칠 정도로 쓰레기 반입량이 눈에 띄게 줄었다. 매립지에 오래 근무했다는 한 직원은 “몇 년 전만 해도 아침마다 쓰레기 차량 행렬이 끝없이 이어졌는데 요즘엔 연휴 이후가 아니면 그런 모습을 거의 볼 수 없다”고 했다. 매립지공사는 수익 부진을 만회하기 위해 전 부문에 걸쳐 예산을 감축했다.

매립을 완료하고 현재 골프장으로 활용되고 있는 수도권매립지 제1매립장. 사진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매립을 완료하고 현재 골프장으로 활용되고 있는 수도권매립지 제1매립장. 사진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쓰레기 반입량이 줄어든 덕분에 매립지는 더 오래 쓸 수 있게 됐다. 현재 골프장으로 사용되는 제1매립장은 8년, 제2매립장은 18년을 썼으며 2018년부터 사용된 3-1매립장은 지난 5월 기준으로 56%의 매립률을 기록하고 있다. 3-1매립장은 설계 당시 2025년에 포화할 것으로 예측됐다. 이에 환경부와 수도권 지자체들이 대체 매립지 선정을 놓고 논의를 이어왔다. 하지만 현재 상황대로 폐기물 감축 정책을 추진하면 3-1 매립장은 예상보다 17년 뒤인 2042년에 포화할 것으로 보인다.

“태양광보다 경제적 효율성 6.7배 높아”

수도권매립지 매립가스 발전시설. 사진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수도권매립지 매립가스 발전시설. 사진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매립지공사는 쓰레기 매립가스나 음식물 폐수에서 나오는 바이오가스 같이 쓰레기 처리 과정에서 얻을 수 있는 다양한 에너지를 활용해 수익원을 다각화하겠다는 계획이다. 매립가스의 경우 발전 원료로 쓸 수 있을 뿐 아니라 온실가스 감축으로 인한 수익도 얻을 수 있다. 매립가스에는 대표적인 온실가스인 메탄이 절반 가량 포함돼 있기 때문이다. 매립지공사는 2007년부터 지난해까지 전기와 탄소배출권을 판매해 5457억 원을 벌었다.

해외 진출에도 적극적이다. 몽골 울란바토르 지역의 매립장에 매립가스 연소 시설을 짓는 등 국제 온실가스 감축 사업도 전 세계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조준호 매립지공사 기후에너지처장은 “매립가스를 1200도의 고온에서 태워서 악취를 완전히 제거하고 열원으로 발전도 가능한 기술을 확보하고 있다”며 “매립가스를 통한 온실가스 감축 사업이 태양광보다 6.7배의 경제적인 효율성이 있다고 평가된 만큼 개도국을 대상으로 움직인다면 높은 감축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