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윤 대통령, 121879 태극기 배지 달고 “호국 영웅 기억·예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현충일인 6일 오전 10시 서울 용산구 전쟁기념관 입구 호국상 앞에서 어린이들이 나라를 위해 목숨을 희생한 순국선열을 기리는 ‘현충일 사이렌’ 소리가 울리자 묵념을 하고 있다. [뉴시스]

현충일인 6일 오전 10시 서울 용산구 전쟁기념관 입구 호국상 앞에서 어린이들이 나라를 위해 목숨을 희생한 순국선열을 기리는 ‘현충일 사이렌’ 소리가 울리자 묵념을 하고 있다. [뉴시스]

6일 오전 10시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 앞.

검은색 양복 차림의 윤석열 대통령이 현충문을 향해 뚜벅뚜벅 걸어나가자 뒤로 8명이 따라 걸었다. 방송에선 이들에 대해 “6·25 전사자 유족이신 김성환님·이천수님·전기희님·고영찬님과 국토방위와 국민의 편안한 일상을 위해 근무하다 순직하신 군인, 경찰, 소방, 해양경찰의 유족이신 이준신님·이꽃님님·박현숙님·황상철님”이라고 소개했다. 이들 옆에는 ‘대한민국을 지켜낸 당신의 희생을 기억합니다’라는 문구가 걸려 있었다. 제68회 현충일 추념식은 이렇게 시작됐다.

윤 대통령의 추념사를 관통한 단어는 기억과 예우였다. 9분간의 추념사에는 ‘영웅’ ‘자유’(8회), ‘기억’(6회), ‘예우’(4회) 등이 등장했다. 아직 유해를 찾지 못한 12만여 전사자를 잊지 않겠다는 의미의 ‘121879 태극기 배지’를 단 윤 대통령은 “저는 오늘 추념식에 앞서 고(故) 김봉학 육군 일병 안장식에 참석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1951년 강원도 양구 ‘피의 능선’ 전투에서 전사한 김 일병은 올해 2월 신원이 확인돼 이날 동생 고 김성학 육군 일병 묘역에 함께 안장됐다. 대통령실은 ‘호국 형제’로 명명했다.

윤 대통령은 “그때의 치열한 전투 상황을 알려주듯 고인의 유해는 2011년부터 2016년까지 세 차례에 걸쳐 서로 떨어진 곳에서 발굴됐다”며 “정부는 호국 영웅들께서 가족의 품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끝까지 노력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면서 강조한 게 대북 안보 강화였다. 지난해 추념사에서 “북한 핵 위협을 억제하면서 보다 실질적인 안보 능력을 갖추어 나갈 것”이라고 약속했던 윤 대통령은 올해에는 “한·미 동맹은 이제 핵 기반 동맹으로 격상됐다”고 평가했다.

윤 대통령은 “우리 정부와 군은 그 어느 때보다 강력한 한·미 동맹을 바탕으로 철통같은 안보태세를 구축해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겠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보훈정책 강화에도 힘을 실었다. 윤 대통령은 “국가의 품격은 국가가 누구를 어떻게 기억하느냐에 달려 있다”며 “자유민주 국가를 건설하고 수호하신 분들, 나라의 주인인 국민의 안전을 위해 희생하신 분들을 제대로 기억하고 예우하는 것은 자유민주주의 헌법의 실천 명령”이라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예정에 없던 베트남전 및 대간첩 작전 전사자 묘역도 방문했다. 먼저 베트남 파병 장병 묘역을 찾아 박민식 국가보훈부 장관의 부친인 고(故) 박순유 육군 중령과 고(故) 박용재 육군 대위의 묘소를 참배했다.

이어 대간첩 작전 전사자 묘역을 찾아 고(故) 이상현 해병 상병의 묘소를 참배하고 유가족을 위로했다. 이 상병은 1972년 진해에서 초소근무 중 무장공비와의 전투에서 전사했다.

베트남전 및 대간첩 작전 전사자 묘역이 있는 제3 묘역은 1981년 6월 조성됐는데, 현직 대통령이 이곳을 방문한 것은 42년 만에 처음이다.

윤 대통령은 유족에게 “전사한 영웅들과 좋은 말씀 많이 나누시라” “대한민국의 자유와 번영은 전사하신 분들의 피 묻은 전투복 위에서 시작된 것”이라고 격려했다. 유족들은 “살다 보니 이런 날이 오네요”라며 감사를 표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