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국종 아주대 교수가 6일 제68주년 현충일을 맞아 국립대전현충원 천안함46용사 합동묘역을 참배하고 있다. 프리랜서 김성태
“올해는 영령들이 외롭지 않을 것 같습니다.”
이국종 국방부 의무자문관은 6일 중앙일보 통화에서 이렇게 말했다. 이 자문관은 이날 오전 중앙일보 김성태 프리랜서(사진기자)가 대전 현충원을 취재하던 중 우연히 포착됐다. 검은색 양복에 검은색 넥타이를 맸다. 매년 해군 정복을 입고 현충원을 찾았는데, 올해는 어머니와 함께 온다고 양복을 입었다고 한다.
이 자문관은 참배를 마치고 이동 중 전화 인터뷰에 응했다. 이 자문관은 2015년 부친이 현충원으로 이장하면서 9년째 현충일에 찾는다.
이 자문관의 아버지는 한국전쟁 직후 육군 1군단 직할대대 통신병으로 근무할 때 대북한 작전을 수행하던 중 한쪽 눈을 잃고 팔다리 상처를 입었다. 2000년 작고했고 2015년 현충원으로 옮겼다.
이 자문관은 이날 모친과 함께 아버지 묘역을 참배한 뒤 천안함46 용사 묘역, 연평포격·연평해전 전사자 묘역, 천안함 구호작전 중 사망한 한주호 준위 묘역을 참배했다. 이들의 유족도 이 자문관 부친 묘역을 참배했다고 한다. 이 자문관은 “해군은 가족처럼 지낸다”고 말했다.
이 자문관은 “코로나가 한창일 때는 참배객이 적어 썰렁했는데, 올해는 많았다. 영령들이 외롭지 않을 것 같아서 마음이 따뜻해졌고 좋았다. 영령들이 많이 반가워했을 것 같다”고 말했다.

이국종 아주대 교수가 6일 제68주년 현충일을 맞아 국립대전현충원 고 한주호 준위 묘소에 헌화하고 있다. 프리랜서 김성태
이 자문관은 고(故) 한주호 준위를 모른다고 한다. 그런데 참배한 이유는 “한 준위는 해군의 전설이지 않으냐”라고 말했다. 한 준위와 이 자문관은 ‘아덴만 사다리’로 연결된다. 2011년 아덴만 여명 작전 때 청해부대와 해군 특수전여단(UDT)이 해적에게 납치된 삼호주얼리호를 구출할 때 UDT 대원들이 삼호주얼리호로 타고 올라간 사다리가 한 준위 작품이라고 한다. 기존 사다리를 개조해서 만들었다. 이 자문관도 아덴만 여명 작전에 참여했다. 소말리아 해적들이 납치한 삼호주얼리호를 아덴만 해상에서 구출한 작전을 말한다.
이날 참배 때 이 자문관을 가슴 아프게 한 사람이 해군 수병이다. 6년 전 황도현함에 승선한 수병이 작전 수행 중 큰 부상을 입었는데, 이 자문관이 수술하고 치료하던 중 8개월 여 만에 전사했다고 한다. 이 자문관은 그 수병 묘역 앞에서 오래 멈췄다고 한다.
그 자리에서 수병의 어머니를 만났다. 오랜만이었다. 어머니는 그간 상황을 털어놨다. 외아들을 잃은 슬픔 때문에 한국에 있는 게 너무 힘들어서 미국·일본 등지를 다녔다고 한다. 이 자문관은 “한국을 오래 떠나있었다는 말을 듣고 너무 가슴이 아팠다. ‘한국에 있는 게 너무 힘들다’는 수병 어머니의 말이 비수처럼 가슴에 꽂혔다”고 말했다.
해군 수병이 승선했던 고속정은 해군 2함대 소속 황도현함이다. 제2 연평해전 때 전사한 고 황도현 중사를 기려 명명한 함정이다. 이날 대전 현충원을 찾은 황도현 중사의 부모가 해군 수병 묘역을 찾아 참배하고 수병 어머니를 위로했다고 한다. 이 자문관의 말.
“천안함이나 연평 관련 전사자 부모들은 그나마 시간이 다소 흘러 마음의 상처를 치료하는 중이지만 해군 수병은 전사한 지 6년밖에 안 돼 어머니가 너무 힘들어합니다. 연평포격·연평해전 전사자 유족들이 ‘건강하셔야 아드님이 하늘나라에서 편히 눈을 감는다’고 위로하더군요. 피해자인 척하지 않고 다른 사람을 걱정하는 모습을 보고 울컥했습니다.”
이날 대전 현충원에는 북한군의 연평 포격 때 전사한 고 서정우 하사의 모친 김오복 여사, 고 문광욱 일병의 부모, 제2 연평해전 전사자 고 한상국 상사의 부인 김한나 씨 등이 찾았다. 김오복 여사는 해군 수병의 묘비를 쓰다듬었고, 문광욱 일병의 부모는 “자유는 공짜가 아니다”라고 강조했단다.
이 자문관은 “유족들이 ‘국립묘지나 전몰장병을 두고 6.25 전쟁 같은 옛날 일처럼 여긴다. 하지만 한 쪽에서 목숨을 잃으면서 나라를 지키는 사람이 있기에 지금의 자유가 있는 것’이라고 강조하더라”고 전했다.

이국종 아주대 교수(맨 왼쪽)가 지난해 9월 제주 남방 해상에서 해상 조난자 탐색구조훈련에 참여해 조난자를 응급처치한 뒤 감압챔버로 옮기고 있다. 이 교수는 국방부 의무자문관이다. 연합뉴스
이 자문관은 명예 해군 중령이다. 해군과 다름없다. 2020년 초 아주대에서 해군으로 파견돼 해군과 함께 일하고 있다. 지난해 8월 군 의료 및 군진의학 관련 국방부 의무자문관을 맡았다. 올 4월에는 해군작전사령부, 즉 해작사 ‘Navy Sea GHOST 발전위원’에 위촉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