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美디폴트 넘기니…‘국채 쓰나미’ 전망에 유동성 경색 우려

중앙일보

입력

2일(현지시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미국이 디폴트(채무불이행) 위기를 피하게 됐다는 대국민 연설을 워싱턴 백악관에서 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2일(현지시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미국이 디폴트(채무불이행) 위기를 피하게 됐다는 대국민 연설을 워싱턴 백악관에서 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미국의 디폴트(채무불이행) 위기가 해소됐지만, 금융시장은 후폭풍을 우려하고 있다. 미 재무부의 대규모 국채 발행이 시중 유동성을 빨아들이는 ‘구축 효과’ 때문에 경기가 위축될 수 있다는 것이다.

5일(현지시간) 블룸버그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연방 부채한도를 상향하는 법안에 서명함에 따라, 미 재무부가 1조 달러(약 1307조원)를 웃도는 국채 발행에 나설 것으로 내다봤다. 블룸버그는 이를 ‘국채 쓰나미(Tsunami of US Debt Sales)’로 표현하면서, 경기침체를 야기할 수 있는 경제 위축 등 원치 않는 파급 효과가 생길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는 구축 효과가 나타날 수 있어서다. 투자자들이 수익률 높은 국채를 매입하기 위해 은행 예금을 빼낼 가능성이 커진다. 미 실리콘밸리은행(SVB) 사태로 위기를 겪은 중소은행들의 예금이 이탈하고 지급 준비금이 줄어드는 등 유동성 위기가 다시 발생할 수 있다는 의미다. 또한 은행들의 자금 조달 비용이 비싸져 단기 금리가 상승하면 가계와 기업의 대출이 어려워진다. 소비와 투자가 줄어 결과적으로 경기침체로 이어질 수 있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fA)는 미 재무부의 대규모 국채 발행이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리는 것과 같은 경제적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봤다. 대규모 국채 발행은 사실상의 긴축으로 평가된다. 인플레이션을 낮추려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상 가능성이 여전한 상황에서, 금융시장에 또 다른 긴축의 '짐'이 얹어진 셈이다. 이 여파로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0.59%)과 S&P500(0.20%), 나스닥지수(0.09%)가 전장보다 하락 마감했다.

5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트레이더들이 일하는 모습. REUTERS=연합뉴스

5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트레이더들이 일하는 모습. REUTERS=연합뉴스

다만 국채 발행의 후폭풍이 시장의 우려 만큼 크지 않을 것이란 반론도 있다. SVB사태 이후 자금이 급증한 머니마켓펀드(MMF) 시장에서 채권을 사면 시중의 유동성이 감소하는 효과는 제한적일 것이라는 설명이다. 또 디폴트 해소는 상대적으로 단기적인 변수이므로, 시장은 경기 상황이나 통화정책 등 중장기적인 변수를 더 중시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