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2일 독일 북서부 베쿰시에 있는 피닉스 시멘트 공장. 땅에서 7m 위에 있는 지름 4m, 길이 15m의 대형 원통형 소성로가 강한 열기를 내뿜으며 돌아가고 있었다. 시멘트는 석회석·점토·규석·철 등을 소성로에서 1450도 이상의 온도로 구워 만든다.
이 공장의 토어스텐코츠워 엔지니어는 “유연탄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폐플라스틱 등의 대체연료로만 시멘트를 만든다”고 말했다. 그의 안내에 따라 소성로와 연결된 대체연료 저장창고에 들어갔다. 700t을 보관할 수 있다는 창고 안에서는 작은 조각으로 분쇄된 폐플라스틱,비닐 등이 컨베이어 벨트로 운반되고 있었다. 코츠워엔지니어은“생활폐기물을 대체연료로 활용하면 쓰레기 처리 문제도 해결할 수 있고 탄소 배출량도 줄일 수 있다”며 “이 공장에서는 대체연료를 사용해 연간 5만t가량의 이산화탄소를 줄이고 있다”고 말했다.
시멘트는 ‘건설의 쌀’이라 불릴 정도로 꼭 필요한 건설 자재이지만 전 세계 탄소 배출량의 7%를 차지할 정도로 온실가스 배출이 많은 업종이다. 시멘트 산업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의 3분의 1은 유연탄을 태울 때 나온다. 유연탄 사용을 줄이는 게 탄소저감 노력의 시작인 셈이다. 독일의 경우 유연탄 대신 대체연료 사용을 늘리고 있다. 독일 시멘트업계의 대체연료 사용 비중은 2020년 기준 69%로 한국의 사용비중 35%(2021년 기준)를 크게 웃돈다.
한국 시멘트업계도 대체연료 사용을 늘려가고 있지만 일부 환경 단체들의 반발과 잘못된 소비자 인식 등이 발목을 잡고 있다. 국내 일부 환경단체는 시멘트 제조과정에 쓰이는 대체연료 중에 중금속이 포함된 폐기물이 있어 국민 건강을 위협한다고 주장한다. 또 폐기물을 사용해 만든 시멘트라는 이유로 ‘쓰레기 시멘트’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이에 대해 독일 시멘트 설비 회사인 티센크루프 폴리시우스의 루크루도스키 연구총괄 대표는 “소성로의 온도는 1450도로 일반 소각장의 온도 800도 보다 훨씬 높기 때문에 모든 유해물질이 타서 없어진다”고 말했다. 토마스 시요국제시멘트콘크리트협회 회장은 “독일은 90%가량의 시멘트가 대체연료를 사용해 만든 것인데, 독일 국민이 자신의 집이 ‘쓰레기 시멘트’로 지어졌다고 생각하겠느냐”며 “폐기물을 사용했다고 해서 쓰레기 시멘트라고 주장하는 건 멍청한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 정책도 시멘트 산업의 ‘탄소줄이기’에 영향을 미친다. 폴리시우스의우베마스기술총괄 임원은“독일은 1990년대부터 폐기물 매립 중단을 논의하기 시작했고 이후 시멘트 소성로를 통한 소각논의가 본격화됐다”고 말했다. 정부의 엄격한 폐기물 처리 방침 때문에 시멘트 산업의 대체원료 활용이 늘었다는 것이다.
피터 호디노트 전 유럽 시멘트협회 회장은 “유럽은 탄소 포집 및 저장·활용의 기술 등을 선도하고 있을 뿐 아니라 탄소 배출권에 가격을 매겨 경제적 시각으로 환경문제를 해결하고 있다”며 “이런 유럽 시멘트 업계의 탈 탄소화 전략은 한국에 좋은 선례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국내 시멘트 업계는 탄소 줄이기를 위한 설비투자로 2018년 이후 5년간 1조8400억원을 투입했고, 앞으로 3~4년간 설비투자를 더 늘릴 계획이다. 하지만 원자잿값이 오른 영향 등으로 국내 시멘트 업체들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12% 감소했다. 설비투자 여력이 줄어든 상황이다. 이 때문에 시멘트업계에서는 시멘트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