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10년 한 번 검사로 C형 간염 치료…"간암 사망률 74% 감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간암 관련 이미지. 중앙포토.

간암 관련 이미지. 중앙포토.

C형 간염을 적절한 시기에 발견해 치료하면 간암 같은 중증 질환으로 발전할 가능성을 크게 낮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간 관련 학계에서는 C형 간염을 조기에 발견하기 위해 관련 검사를 국가건강검진 항목에 추가해야 한다고 꾸준히 주장해 왔는데, 관련 논의에 속도가 붙을지 주목된다.

조기 치료, 사망 위험 74% 낮춰

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최광현ㆍ정숙향 교수 연구팀이 전국 7개 대학병원에 등록된 C형 간염 환자 2054명을 약 4년 동안 추적 조사한 결과 C형 간염 치료를 받은 환자는 치료받지 않은 환자들에 비해 간암 발병 및 사망 위험이 크게 줄었다고 2일 밝혔다. 전체 연구 대상 중 치료를 받지 않은 환자는 619명이었다. 인터페론 주사로 치료받은 환자가 578명, 경구용 항바이러스제로 치료받은 환자는 857명이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먹는 약으로 치료했을 때 환자 95.3%가 완치됐다. 주사제로 치료했을 때도 비슷한 효과가 나타났다. 완치된 환자들의 간암 위험은 치료받지 않은 환자보다 59% 낮았고, 간 관련 사망 위험은 74% 낮았다. 연구팀은 합병증을 동반한 간경변증의 발생 위험도 90% 낮았다고 밝혔다.

“10년에 한 번 검사도 효과” 

치료받은 환자의 예후가 좋다는 건 C형 간염을 빨리 발견해야 한다는 뜻이다. C형 간염 바이러스는 간암 및 간 관련 사망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지만 증상이 거의 없다. 주로 혈액을 통해 감염된다. 혈액 제제 관리가 잘 되면서 수혈을 통한 감염 우려는 거의 사라졌지만 정맥 주사 약물 남용, 주사침 찔림 등 오염된 혈액에 노출되는 경우는 아직도 많다는 게 전문가들 얘기다. AㆍB형과 달리 예방 백신이 없고 대부분의 환자가 건강 검진을 통해 우연히 발견한다. 이 때문에 대한간학회 등 간 관련 학계에선 C형 간염 검사를 국가건강검진 항목에 추가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최광현 분당서울대교수는 “기본적으로 전염병이기 때문에 발견해서 치료하면 그 자체로 (감염) 예방까지 된다는 점에서 빨리 찾아 치료하는 게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국가 검진으로 선별 검사를 도입할 경우 검사 간격에 대해선 사견임을 전제로 “10년에 한 번 정도를 추천한다”고 말했다. “C형 간염에 걸린 뒤 간 경변이나 간암으로 발전하기까지는 일반적으로 30년, 음주자의 경우 20년 정도를 본다”고 덧붙였다. 심각한 간 질환으로의 진행이 느리기 때문에 매년 검사할 필요는 없단 뜻이다. 다만 혈액 투석 환자나 마약 주사를 못 끊는 환자들은 매년 하는 것을 권장했다.

C형 간염 바이러스. 중앙포토.

C형 간염 바이러스. 중앙포토.

보건복지부는 신중…“검토할 점 많아”

이번 연구 결과에 대해 C형 간염 관리 주무부처인 질병관리청에서는 “C형 간염 국가건강검진 도입 근거가 마련됐다”라며 “연구 결과를 반영해 국가건강검진 도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라고 밝혔다. 질병청에 따르면 국가검진 항목에 40~65세 인구를 대상으로 C형 간염 선별 검사(항체 검사)를 1회 실시할 때 선별 검사를 하지 않았을 때보다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효과적(약 355만원 절감)인 것으로 밝혀졌다. 질병청은 근거 자료를 만들어 전문위원회, 국가건강검진위원회 등의 전문가 심의를 요청할 계획이다.

다만 국가건강검진 사업 부처인 보건복지부는 신중한 입장이다. 정연희 복지부 건강증진과장은 “C형 간염 말고도 검토해야 할 질병들이 많다”라며 “(국가 검진에 넣을 경우) 비용 대비 효과와 C형 간염 유병률 등을 따져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국가 검진에 이를 넣어 관리하는 게 맞는지 등을 검토해봐야 한다. 이런 절차를 거친 뒤 빨라야 올해 하반기에 결정을 위한 검진위원회가 열릴 것”이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