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일 서울 한국은행 별관에서 ‘팬데믹 이후의 정책과제’라는 주제로 열린 BOK 국제컨퍼런스에 참석해 대담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 총재, 나라야나 코첼라코타 교수, 토마스 사전트 교수. [뉴스1]](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306/02/bd4f8fd1-375b-47d3-ab6a-df981dff9dd6.jpg)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일 서울 한국은행 별관에서 ‘팬데믹 이후의 정책과제’라는 주제로 열린 BOK 국제컨퍼런스에 참석해 대담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 총재, 나라야나 코첼라코타 교수, 토마스 사전트 교수. [뉴스1]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고위인사들이 이달 13~14일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할 수 있다고 시사했다. 다만 금리 인상을 중단하는 것이 아닌 잠시 쉬어가는 것이라며 하반기 추가 인상 여지를 남겼다.
Fed 차기 부의장에 지명된 필립 제퍼슨 이사는 31일(현지시간) 워싱턴DC에서 열린 금융 부문 정책 과제에 관한 연례 콘퍼런스에서 6월 기준금리를 현 수준(5.00~5.25%)으로 유지할 가능성에 무게를 실었다. 그는 “금리를 유지한다는 결정이 나오더라도 최종 금리에 도달했다는 뜻으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며 동결(pause)이 아니라 건너뛰기(skip)라고 표현했다.

그래픽=김영희 02@joongang.co.kr
이날 패트릭 하커 필라델피아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도 금리 동결을 지지하는 발언을 했다. 올해 FOMC에서 투표권이 있는 그는 “분명히 이번 회의에서 금리 인상을 건너뛰는 것을 고려하는 진영에 있다”고 했다. 다만 “5월 고용 지표가 내 마음을 바꿀 수도 있다”며 최종 결정까지 경제 지표를 면밀히 보겠다는 단서를 달았다.
두 인사의 비둘기(통화완화 선호)적 발언은 그동안의 고강도 긴축을 숨고르기 하면서 정책 효과를 살피겠다는 취지로 풀이된다. 이에 시장의 6월 금리 전망은 빠르게 방향을 틀었다. 두 인사의 발언 후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서 6월 기준금리 동결 전망이 70% 수준으로 올랐다. 이날 미 노동통계국이 이날 4월 구인·이직보고서(JOLTS)를 발표했을 때만 해도 기준금리 0.25%포인트 인상을 예상하는 비율이 약 70%였다.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JOLTS에 따르면 4월 미 민간 기업의 구인 건수는 1010만 건으로 집계됐다. 지난 3월 975만 건에서 1000만 건대로 재진입했고, 블룸버그 전망치(940만)를 크게 웃돌았다. Fed가 주목하는 지표인 실업자 1명당 빈 일자리도 전월보다 늘어(1.7→1.8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 이전(1.2개)을 웃돌고 있다. 미국의 4월 실업률은 3.4%로 역사적으로 낮은 수준을 기록 중이다. 고용시장 활황은 인플레이션에 상방 압력을 가하는 요소로 꼽힌다.
하지만 이날 나온 Fed의 경기동향 보고서 ‘베이지북’은 미국의 고용과 인플레이션이 둔화 조짐을 보인다고 진단했다. 일부 지역에서는 수요 약화와 경기 불확실성으로 민간 기업이 고용을 동결하거나 인력 감원에 나섰다고 전했다.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이와 관련 1일 한국은행이 ‘팬데믹 이후의 정책과제’를 주제로 개최한 BOK 국제컨퍼런스에서 실질금리(명목금리-물가상승률)가 성장률을 지속적으로 밑도는 ‘장기 저성장’ 국면에선 물가를 잡기 위해 세입 확대나 이전지출 축소 등을 활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물가 잡기에 긴축적인 ‘통화정책’에만 의존하기보다, 긴축적 ‘재정정책’을 병행해야 한다는 의미다.
미국 미니애폴리스 연방준비은행 총재를 지낸 나라야나 코첼라코타 로체스터대 교수는 이날 기조연설에서 “고(高)인플레이션에 대해 긴축적 통화정책으로 대응하면 일차적으로는 현재 시점의 수요를 축소시키고 인플레이션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며 “하지만 가계가 보유하고 있는 정부채권의 이자수익이 증가하면서 오히려 미래 수요를 자극하고 인플레이션을 상승시킬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코첼라코타 교수는 “고인플레이션에 대해 이전지출 축소 등 긴축재정으로 대응할 경우, 가처분소득 감소를 통해 현재 소비와 인플레이션을 낮출 수 있다”며 “또 이를 통한 정부부채 축소가 미래 가계의 이자수익을 동시에 감소시키면서 미래 수요도 축소하며 인플레이션을 억제하는 효과가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그는 인플레이션 대응책으로 공급망 개선을 통한 생산비용 감축과 기업 간 경쟁 제고가 필요하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