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日, 北위성 '파괴명령' 11일까지 유지...미·일 국방장관 도쿄서 회담

중앙일보

입력

지난 31일 북한이 시도한 정찰위성 발사는 실패로 끝났지만 일본 정부는 위성 잔해 등이 일본 영토에 떨어질 것을 우려해 자위대에 발령했던 '파괴 명령'을 오는 11일까지 유지하기로 했다. 하마다 야스카즈(浜田靖一) 일본 방위상은 1일 방일 중인 로이드 오스틴 미국 국방장관과 도쿄 방위성에서 만나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에 대응한 한·미·일 안보 협력 방안 등을 논의했다.

지난달 31일 일본 도쿄에서 시민들이 북한의 정찰위성 발사 실패와 관련한 뉴스가 나오는 전광판 앞을 지나고 있다. AFP=연합뉴스

지난달 31일 일본 도쿄에서 시민들이 북한의 정찰위성 발사 실패와 관련한 뉴스가 나오는 전광판 앞을 지나고 있다. AFP=연합뉴스

1일 아사히신문에 따르면 하마다 방위상은 전날 기자회견에서 "긴장감을 갖고 경계 감시에 만전을 기하겠다"면서 북한이 당초 위성 발사 예정일로 통보한 이번달 11일까지는 현재 자위대에 내려진 파괴명령을 그대로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파괴명령은 북한의 위성 본체나 잔해 등이 일본 영토에 낙하할 가능성이 있을 때 이를 요격하라는 지시다.

자위대는 이를 위해 2단계의 요격 태세를 준비하고 있다. 요격미사일 SM-3를 탑재한 이지스함을 동중국해에 전개시켜 대기권 밖에서 먼저 파괴를 시도하고 실패할 경우 오키나와(沖縄)현에 있는 섬들인 미야코지마(宮古島), 이시가키지마(石垣島), 요나구니지마(与那国島)에 배치한 지대공 유도탄 PAC-3로 요격한다. 이 중 이시가키지마의 경우 태풍 2호의 접근에 따른 기상 악화로 전날 패트리엇 부대 배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고 일본 언론들은 전했다.

북한이 언제 다시 위성을 발사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여러 의견이 나오고 있다. 아사히신문은 1일 북한의 정찰위성 발사를 "김정은 체제의 권위를 지킨다는 의미"라고 해석하면서 "김정은은 2021년 1월 조선노동당 대회에서 2025년까지 군사정찰위성 운용을 지시했고, 이렇게 명시한 이상 성능과 관계없이 목표를 실현할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하지만 6월 초 조선노동당의 중요 회의도 예정돼있는 만큼 "시간을 충분히 들여 기술적인 대책을 진행하면서 발사 시기를 고민할 것"으로 예상했다.

요미우리신문은 한국 전문가의 말을 이용해 "김정은의 위신을 건 사업이기 때문에 최소한의 원인 조사를 거쳐 즉시 발사할 가능성이 높다"고 예측했다. 몇 주 내에 두 번째 발사가 있을 수 있다는 의미다. 발사를 서두르는 것은 한·미의 군사력에 대항하기 위해서는 정찰 능력이 필수라고 판단하고 있기 때문이며, "미국 본토에 도달하는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의 성능 향상을 도모하는 목적도 있다"고 요미우리는 분석했다.

로이드 오스틴 미국 국방장관과 하마다 야스카즈 일본 방위상이 1일 일본 방위성에서 회담에 앞서 사진 촬영을 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로이드 오스틴 미국 국방장관과 하마다 야스카즈 일본 방위상이 1일 일본 방위성에서 회담에 앞서 사진 촬영을 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한편 로이드 오스틴 미국 국방장관과 하마다 일본 방위상은 1일 도쿄 방위성에서 미·일 국방장관 회담을 갖고 북한의 군사적 도발에 대한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하마다 방위상은 전날 북한이 우주발사체로 주장하는 물체를 발사한 것과 관련해 "한층 더한 발사를 할 가능성이 있어 미·일, 한·미·일이 협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오스틴 장관은 "우리들은 중국의 강압적 행동, 북한의 위험한 도발 행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등 공통 과제에 직면해 있다"며 미국과 일본이 억지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