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출협 “전자책 100만권 해킹은 출판산업 근간 흔들 사건”

중앙일보

입력

대한출판문화협회 전경. 연합뉴스

대한출판문화협회 전경. 연합뉴스

지난 19일 온라인 서점 알라딘에서 100만권의 전자책 파일이 해킹된 사건과 관련해 대한출판문화협회(출협)가 30일 성명을 내고 명확한 해명과 대책을 촉구했다.

이날 출협은 “26일 한국저작권보호원에서 확인한 바로는 이미 5000여종의 전자책이 3200여명이 모여 있던 텔레그램 오픈채팅방에 유출돼 1차 피해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출협은 “해당 전자책들은 향후 몇십 년간 유령처럼 떠돌아다닐 것이고, 상품으로서의 가치는 사실상 상실하게 될 것”이라며 “무한 복제가 가능하고, 시공간의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전자책 파일 유출은 종이책을 도둑맞는 것과는 차원이 다른 문제”라고 했다.

그러면서 “탈취된 전자책 파일이 추가로 유출된다면, 출판계로서는 상상하기조차 싫은 재앙이 될 것이고 이는 출판사뿐만 아니라 전자책 유통업계 전체의 피해로 돌아올 것”이라며 “이처럼 이번 전자책 탈취 사건은 그 파장과 피해를 예측하기조차 힘든, 그야말로 출판 산업의 근간을 뿌리째 흔들 수 있는 사건”이라고 개탄했다.

출협은 알라딘이 지금도 전자책 보안 상태에 대해 명확한 해명을 내놓고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또한 탈취 사건 이후 어떤 보안 조치를 취했는지에 대한 설명 요청에도 답하지 않고 있다고 비난했다.

출협은 지난 25일 전자책 유통 플랫폼(교보문고, 예스24, 알라딘, 리디북스, 밀리의서재, 북큐브, 카카오페이지)의 보안 책임자에게 현재 전자책 업계의 보안 상황에 대한 점검과 설명을 요청하는 자리에 나와달라는 공문을 전달했다고 밝혔다.

출협은 “‘호미로 막을 것을 가래로 막는’ 일이 없도록 출판계와 전자책 유통업체가 함께 보안 시스템을 점검하고 사태의 재발을 방지하는 데 머리를 맞대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출협은 “불법 유출된 파일을 다운받거나 유통하는 것은 범죄행위로서 출판생태계의 혼란에 일조하는 일”이라며 “불법유통자들이 그 파일들을 통해 바이러스를 심는 등 다른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니 절대 다운받거나 유통하지 말고 발견 즉시 관계 기관에 신고해달라”며 당부했다.

한편 알라딘은 전자책 유출에 대해 경찰청 사이버수사국과 한국저작권보호원에 신고한 상태다. 지난 20일에는 자사 공지사항을 통해 전차책 유출 사태를 사과하며 “2차 피해를 막아야 하는 의무를 깊이 통감하고 이를 위해 모든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밝혔다.

이 기사 어때요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Innovation La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