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로움은 마음의 작용이다. 육체의 작용은 통증이다. 마음공부를 하는 건 괴로움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다.”
25일 서울 강남구 선릉로 성암아트홀에서 더중앙플러스 구독자 200명을 대상으로 ‘인사이트 세미나-백성호 기자의 고수를 만나다’가 열렸다. 더중앙플러스(The JoongAng Plus)는 중앙일보의 프리미엄 디지털 구독 서비스다.
지난해 12월 ‘103세 철학자’ 김형석 교수의 강연 ‘백 년을 살아보니-삶에서 정말 중한 것들’에 이어 이번에는 법륜 스님을 초청해 “삶이 너무 버거워요. 스님, 어떡할까요?”란 주제로 대담과 즉문즉설을 가졌다. 객석에서는 수시로 웃음이 터졌고, 청중의 질문과 스님의 해법에 고개를 끄덕이는 이들도 많았다.
1부 ‘법륜 스님에게 마음을 묻다’는 마음을 주제로 사회자(백성호 종교전문기자)의 즉문에 법륜 스님이 즉답하는 식으로 진행됐다. “마음공부는 어떻게 하느냐?”는 물음에 스님은 “괴로움은 마음의 병이다. 첫째 내가 괴롭다는 걸 인지해야 한다. 이게 병이라는 걸 알아야 한다. 둘째 병의 원인을 알아야 한다. 셋째 원인을 제거해야 한다. 그게 치료다. 넷째는 재발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며 “이게 마음공부의 근본 원리다. 세상만사도 마찬가지다. 갈등이 있으면 그걸 알아차리고, 원인을 알고, 그 원인을 제거하고, 재발하지 않도록 하면 된다”고 강조했다.
이어서 법륜 스님은 “혼자 살아 외로워서 괴로운 사람이나 결혼해서 갈등으로 괴로운 사람이나 아이가 말을 안 들어서 괴로운 사람이나 괴로움은 다 똑같다”며 누구나 괴로울 수 있다고 했다. “괴로움은 하늘에서 떨어지는 것도 아니고 땅에서, 혹은 전생에서 온 것도 아니다. 지금 내 마음이 괴로운 걸 직시하면 원인을 찾을 수 있다. 그 원인을 놓아버리면 괴로움 없는 상태가 된다. 누구나 괴로울 수 있지만, 누구나 안 괴로울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누구나 부처가 될 수 있다는 뜻이다.”
청중을 쭉 둘러보던 법륜 스님은 “괴로움을 가지고 살지, 괴로움 없이 살지는 전적으로 여러분의 선택이다”고 말했다.
또 마음공부를 할 때는 자신의 실질적인 삶에 적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법륜 스님은 “‘공부 따로 생활 따로’라는 말은 존재할 수가 없다. 그건 생각으로 하는 공부를 하니까, 삶의 괴로움이 없어지지 않으니까 하는 말이다. 그런데 내가 뭘 괴로워하느냐를 가지고 공부하면 생활과 마음공부가 따로 갈 수가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서 사회자가 법륜 스님 저서에 있는 한 구절을 낭독했다. “물에 빠져서 살려달라고 허우적대지 말고, 물에 빠진 김에 진주조개를 주워오라. 어차피 장가간 김에, 어차피 자식 낳은 김에, 어차피 부도난 김에, 어차피 암에 걸린 김에, 어차피 늙은 김에 괴로워하지 말고 깨칠 수 있는 기회를 찾아보라.” 법륜 스님은 “깨달음은 멀리 있지 않다. 그걸 알아차리면 단박에 깨칠 수도 있다”고 말했다.
법륜 스님은 괴로움과 깨달음을 꿈에 비유했다. “꿈에 강도를 만나서 쫓기면 두렵다. 그런데 누가 도와주면 고맙다. 강도를 피했다고 안도한다. 이게 지금 우리가 받고 있는 위로다. 그런데 눈을 딱 뜨면 어떤가. 그냥 꿈이다. 원래 강도도 없고, 고마울 일도 없다. 괴로움과 깨달음은 이런 거다.”
2부 ‘법륜 스님의 즉문즉설’에서는 독자와 청중이 건네는 삶의 다양한 문제들이 펼쳐졌다. 법륜 스님은 하나씩 짚어가며 이치가 담긴 해법을 풀어냈다. 스님이 건네는 유머와 청중의 폭소, 이어지는 크고 작은 깨달음으로 강연장은 지루할 틈이 없었다.
“문득문득 튀어나오는 화를 다스리는 방법”을 묻자 법륜 스님은 “이미 튀어나온 화는 방법이 없다. 화를 낸 것에 대한 과보를 받아야 한다. 죄지어놓고 모두 천당 가겠다는 건 나쁜 심보다”라며 “다만 화를 낸 뒤에라도 알아차리면 도움이 된다. 바로 사과할 수도 있다. 그럼 다음부터는 화가 탁 올라올 때 알아차릴 수도 있다. 그럼 멈출 수가 있다. 쉽게 가라앉을 수가 있다. 만약 또 화를 내버렸다면 빨리 사과하면 된다”고 일러주었다.
이외에도 힘겨운 가정사와 아이 교육 문제, 우연ㆍ필연ㆍ카르마(업 혹은 습관) 등 삶의 다양한 물음들이 쏟아졌다. “법륜 스님께서는 출가하지 않았다면 어떤 삶을 살았을 것 같나요?”라는 질문도 나왔다. 법륜 스님은 “청소년 때는 과학자가 되고 싶었다. 무엇이든 탐구하고 연구하는 걸 좋아했다. 어릴 적 저는 옮고 그름의 잣대가 강했다. 이런 성질 때문에 아마 명대로 못 살았을 확률도 높다”며 “불교 공부를 하면서 서로 다른 걸 이해하고 포용성이 생겼다. 이런 걸 많이 봐주는 힘이 생겼다”고 대답했다.
베트남ㆍ태국ㆍ라오스ㆍ튀르키예ㆍ시리아 등 동남아시아와 서남아시아를 두 달간 돌면서 난민촌과 재해 구호지역에서 인도주의 활동을 벌이다 막 귀국한 법륜 스님은 이날 여독도 채 풀리지 않은 상태였다. 그런데도 청중의 절박한 즉문에 일일이 마음을 담아 지혜의 즉설을 꺼냈다.
‘더중앙플러스(The JoongAng Plus)(https://www.joongang.co.kr/plus/)’에서 백성호 기자의 깊이있는 기사를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중앙일보 프리미엄 디지털 구독 서비스의 '백성호의 궁궁통통(https://www.joongang.co.kr/plus/series/105)'에서 삶의 지혜를 낚아보세요.
함께 읽으면 좋은 '백성호의 궁궁통통'
① 정토회는 복을 빌지 않는다, 법륜의 ‘거대한 실험’ 30년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18741
② 가톨릭 사제 ‘불교수행 30년’…서명원 신부의 놀라운 변화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64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