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Ⅱ)가 지난 25일 성공적으로 발사되자 투자자의 이목이 우주 산업으로 쏠리고 있다. 막연히 먼 미래의 일이라고 생각했던 우주 산업의 성과가 눈 앞에 펼쳐지면서다.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우주 산업에 투자하는 방법은 국내 우주 산업 주도 기업에 직접 투자하거나 펀드·상장지수펀드(ETF)를 통해 간접 투자하는 방법, 미국 등 해외 기업과 해외 ETF에 투자하는 것 등이 있다.
금융투자업계 전문가들은 우주 산업 투자에 대해 “무한한 잠재력을 가진 메가 트렌드에 주목할 필요가 있지만, 과거 다른 산업의 초기 시장처럼 변동성이 큰 만큼 장기적인 안목에서 옥석 가리기와 분산 투자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이번 누리호 발사 성공과 관련해 투자 업계가 주목하는 부분은 향후 우주 발사체 기술이 정부에서 민간으로 이양된다는 점이다. 이번 3차 발사까지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과 한국항공우주(KAI)가 프로젝트를 주관하고 체계 총조립 임무를 맡으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하지만 앞으로 2025~27년 이어질 4~6차 발사는 민간 업체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항우연의 기술을 전수받아 주도하게 된다.
순수 국내 기술로 진행된 누리호 개발에는 국내 민간 기업 300여곳이 참여한 만큼 투자자는 관련 기업에 직접 투자할 수 있다. 향후 발사 임무를 주도할 한화에어로스페이스를 비롯해 발사대 시스템 전반을 총괄한 HD현대중공업과 누리호 추진기관 시스템 시험 설비를 구축한 현대로템 등이 대표적인 국내 증시 상장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