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현대차, LG엔솔과 맞손…5조7000억 들여 美배터리 공장 건설

중앙일보

입력

현대자동차그룹이 LG에너지솔루션과 함께 5조7000억 원을 투자해 2025년 미국에 전기차 배터리셀 합작공장을 세운다고 26일 밝혔다. ‘배터리 동맹’을 통해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대응해 전기차 시장 주도권 확보에 나서겠다는 포석으로 풀이된다.

현대차 대표이사 장재훈 사장(왼쪽)과 LG에너지솔루션 대표이사 권영수 부회장이 26일 서울 여의도 LG에너지솔루션 본사에서 북미 배터리 합작법인 계약을 체결하고 있다. [현대자동차그룹 제공]

현대차 대표이사 장재훈 사장(왼쪽)과 LG에너지솔루션 대표이사 권영수 부회장이 26일 서울 여의도 LG에너지솔루션 본사에서 북미 배터리 합작법인 계약을 체결하고 있다. [현대자동차그룹 제공]

고성능 전기차 30만대…2025년 말 가동 목표

현대차그룹과 LG에너지솔루션은 26일 이사회를 열고 장재훈 현대차 사장, 권영수 LG에너지솔루션 부회장이 북미 배터리 합작법인을 설립하기로 의결했다고 공시했다.

올해 하반기 착공 예정인 배터리셀 합작공장은 현대차그룹 전기차 전용공장(HMGMA) 부지가 자리한 미국 조지아주 서배너 브라이언 카운티에 들어선다. 오는 2025년 생산이 목표다. 이를 위해 오는 2028년까지 5년간 총 5조7000억원(43억 달러 이상)을 공동 투자하며 지분은 50%씩 갖는다.

이 공장에서는 매해 30기가와트시(GWh)에 달하는 배터리셀을 생산할 예정이다. 만들어진 배터리셀은 현대모비스가 배터리팩으로 제작해 현대차그룹의 첫 전용 전기차 공장인 ‘메타플랜트 아메리카’에서 만든 차량에 공급된다. 그뿐만 아니라 기존 현대차 앨라배마 공장, 기아 조지아 공장 등 현대차그룹의 미국 공장에서 생산되는 전기차에도 전량 공급할 예정이다.

현대차그룹이 국내 배터리 업체와 손잡고 미국에 전기차 배터리 합작공장을 세우는 것은 SK온에 이어 이번이 두 번째다. 현대차가 SK온에서 공급받는 배터리 용량까지 더하면 총 65GWh에 달하는 물량을 확보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는 연간 고성능 전기차 약 60만대에 탑재할 수 있는 규모다. 앞서 현대차그룹과 SK온은 지난 4월 이사회를 열고 연간 35GWh의 배터리를 생산하기 위해 6조5700억원(50억 달러)을 투자한다고 발표했다. 35GWh는 전기차 약 30만대분에 해당한다.

“북미 전기차 시장 주도할 것” 

현대차는 이로써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보다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됐다. IRA는 미국 내에서 생산된 배터리를 탑재한 전기차에 대해 대당 최대 7500달러의 보조금(세액공제)을 차량 구매자에게 지급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그간 현대차그룹은 미국에서 전기차를 생산하지 못해 보조금 혜택 대상에서 제외됐다. 올해 현대차그룹의 미국 내 전기차 판매량은 총 1만424대로, 전년 동기 대비 16.7% 줄었다.

[LG에너지솔루션 제공]

[LG에너지솔루션 제공]

완성차 업체와의 협업은 배터리 업계에도 ‘윈윈’(win-win)이다. 배터리 업체 입장에서는 수주 물량을 선점하고 완성차 업체와 공장 건설비 등을 분담해 투자비 부담을 줄일 수 있어서다. 현대차그룹과 LG에너지솔루션의 배터리 동맹 역시 이번이 두 번째다. 두 회사는 2021년부터 약 11억 달러를 투자해 인도네시아 카라왕 산업단지에 연산 10GWh 규모의 배터리셀 합작공장을 짓고 있다. 내년 상반기 양산을 시작한다.

장재훈 현대차 사장은 이날 계약 체결식에서 “글로벌 배터리 선두기업이자 핵심 파트너인 LG에너지솔루션과의 합작공장 설립을 통해 글로벌 전기차 대전에서 승기를 잡을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권영수 LG에너지솔루션 부회장은 “글로벌 자동차 산업의 강자 현대차그룹과 배터리 산업의 선두주자 LG에너지솔루션이 손을 잡고 북미 전기차 시장을 주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Innovation La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