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아토피에 스테로이드약 나쁘다? 오해랍니다

중앙일보

입력

아토피 명의 서성준 중앙대 교수

서성준 피부과 교수과 3일 서울 중앙대병원에서 중앙일보와 인터뷰 하고 있다. 김종호 기자

서성준 피부과 교수과 3일 서울 중앙대병원에서 중앙일보와 인터뷰 하고 있다. 김종호 기자

“스테로이드 약을 쓰기 두렵다는 이유로 ‘아토피 피부염에 좋다’는 각종 민간요법에 매달리다가 상태가 악화돼 찾아오는 환자들을 볼 때 가슴이 아픕니다.”

국내 최고의 아토피 피부염(이하 아토피) 명의로 꼽히는 서성준 중앙대병원 피부과 교수는 진료 현장에서 가장 답답한 순간을 이렇게 설명했다. “환자들이 피부에 좋다며 어성초·알로에·탱자 삶은 물, 목초액·죽염·숯가루를 탄 물에 목욕하거나 몸속 독을 뺀다며 피부를 자극하는 경우도 더러 있다. 약해진 피부를 자극해 피부염이 걷잡을 수 없이 심각해진 사례를 수없이 많이 봤다”고 하면서다. 서 교수는 ‘꾸준한 치료’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아토피와 관련해 널리 알려진 잘못된 상식 세 가지가 ‘스테로이드는 무조건 나쁘다. 비누를 쓰면 안 된다. 완치가 안 된다’란 말이다”라고도 했다.

세 가지 모두 틀린 말인가.
“스테로이드를 기피하는 건 전 세계적인 현상이다. 하지만 스테로이드는 항염·항알레르기 작용이 탁월해 일정 기간, 단기간 쓰면 아주 좋은 약이다. 물론 부작용이 있다. 오래 바르면 피부가 얇아지고 혈관이 확장될 수 있다. 남용하면 성장 지연이나 소아 당뇨, 골다공증이 올 수 있다. 하지만 의사의 관리·감독하에 쓰면 문제가 없다. 아토피 환자는 물로만 씻어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오해다. 아토피 관리의 제1 원칙은 청결과 보습인 데 비누를 안 쓰면 청결하게 닦을 수 없다. 다만 아토피 환자들의 피부는 알칼리성으로 가 있어 약산성의 아토피 전용 클렌저를 쓰라고 권한다. 피부를 약산성으로 청결하게 하고 그다음 3분 이내에 보습제를 잘 발라주는 게 좋다. 셋째로 아토피는 하루아침에 뚝딱 낫지는 않지만 꾸준히 치료하면 해방될 날이 있다. 유병 기간을 줄이고 고통을 덜기 위해 체계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아토피는 피부병만 있나.
“아토피(Atopy)는 일반인에 볼 수 없는 비정상적인 알레르기 반응을 의미한다. 발병 신체 부위에 따라 알레르기 비염(코), 알레르기 천식(기관지), 아토피 피부염(피부) 등으로 나뉘며 식품 알레르기도 같은 범주에 포함된다. 이중 아토피 피부염은 대개 5세 이전 유아·소아에 증상이 나타나서 성장과 더불어 증상이 완화되거나 사라지는 어린이에게 흔한 피부 질환이다. 약 10%는 성인이 돼도 지속될 수 있다.”
아토피의 발병 원인은.
“현재까지 정확한 발병기전(병이 발생하는 원리)이 밝혀지진 않았지만,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크다고 추정한다. 부모 모두 아토피라면 자녀가 아토피일 가능성은 70~80%로 본다. 이런 유전적 소인이 있는 사람이 집먼지진드기·고양이털·개털·꽃가루 같은 알레르기 물질이나 대기오염물질 등 환경적 인자에 노출되면서 알레르기 증상이 유발된다.”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2021년 질병관리청 분석에 따르면 1998~2019년 국내 천식 환자는 3배, 아토피피부염 환자는 2배, 알레르기 비염 환자는 18배 증가했다.

환자가 급증한 이유는.
“환경오염이 가장 큰 원인이다. 둘째는 주거환경의 변화로 새로운 항원에 노출될 가능성이 커진 탓이다. 집먼지진드기의 서식지인 카펫을 깐다든가, 반려동물을 기르는 집이 많아졌다.”
공기 좋고 물 좋은 데 살면 낫나.
“좋은 환경이 도움될 수 있지만 전부는 아니다. 자연환경이 좋은 뉴질랜드나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유학하고 온 학생들이 현지에서 고생하다가 한국에서 낫기도 한다. 여러 가지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하니까. 어려운 질병이다.”
아이는 우유·계란·밀가루는 피해야 하나.
“절대 그러면 안 된다. 무턱대고 발육에 필수적인 식품을 제한하면 성장 지연을 부를 수 있다. 실제 식품 제한 때문에 아토피 아이들이 정상 아이들보다 왜소하다는 연구 결과도 나왔다. 먼저 알레르기 검사부터 하고, 식품 제한이 필요하다는 진단이 나오면 대체 식품을 마련해야 한다. 우유 알레르기가 있다면 두유를 먹인다든가, 밀가루에 반응 있다면 쌀로 대체하는 식이다.”
아토피 치료는 어떻게 하나.
“우선 적절한 수분 공급으로 가려움증과 피부염을 감소시킨다. 아토피가 동반한 피부 건조증을 완화시키고 피부 장벽 유지를 위해 보습제가 흔히 처방된다. 보습제로 조절이 안 될 경우 국소치료제로 스테로이드제를 쓴다. 스테로이드는 병변이 급성으로 악화될 때 단기간 효과적으로 호전시킬 수 있다.”
부작용으로 치료를 중단하면.
“아토피가 천식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아토피를 조기에 적극 치료해야만 알레르기 질환이 줄줄이 이어지는 현상을 막을 수 있다. 약물 부작용도 체계적인 치료를 하면 최소화할 수 있다.”
닥터 후(Dr. Who)(https://www.joongang.co.kr/plus/series/144)

중앙일보 복지팀 기자들이 전국의 명의를 찾아갑니다. 특정 질환을 평생 진료해 온 명의들이 예방법, 의심 증상, 치료법 등  질환에 대한 대한 모든 정보를 전달합니다. 백세시대 더 건강하게 사는 법을 알려드립니다. 더중앙플러스의 ‘닥터 후(Dr. Who)(https://www.joongang.co.kr/plus/series/144)’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더중앙플러스가 찾은 대한민국 명의

① 운동으로 이기겠다는 환자, 당뇨 명의가 화 참고 건넨 말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64595

② 첫 환자 떠난 뒤 “일도입혼”…그렇게 난소암 킬러가 됐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61122

③ 감기 앓다가도 응급실 온다…‘루푸스 신’ 잠귀 밝은 이유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57655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Innovation La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