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한은, 경제성장률 전망 1.4%로 내렸다..."회복 속도 더딜 것"

중앙일보

입력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5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를 마치고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뉴스1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5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를 마치고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뉴스1

한국은행이 25일 발간한 경제전망 보고서를 통해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GDP) 전망치를 1.4%로 하향 조정했다. 지난 2월 전망치(1.6%)에서 0.2%포인트 낮춘 것으로, 한국개발연구원(KDI)·국제통화기금(IMF)·아시아개발은행(ADB) 등의 전망치(1.5%)보다 낮다. 한은은 올해 연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지난해 2월(2.5%)을 시작으로 5번 연속 낮췄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마이너스 성장한 2020년(-0.7%)과 글로벌 금융위기를 겪은 2009년(0.8%)을 제외하면 2000년대 들어 가장 낮은 수준이다.

이는 반도체 수출 부진 등 정보기술(IT) 경기 위축이 심화된데다, 중국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이 한국 경제에 긍정적 효과를 미치는 시점도 예상보다 지연되서다. 김웅 한은 부총재보는 “대중국 반도체 수출 부진과 중국 관광객의 국내 유입이 느리게 개선되고 있는 점을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주요 부문별로 보면 1분기 성장을 주도했던 민간소비는 가계소득 증가, 소비심리 개선 등으로 완만한 회복세를 보이면서 연간 2.3%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설비투자는 반도체 기업 투자 축소, 자본조달비용 부담 등으로 지난해 -0.5%에서 올해 -3.2%로 감소 폭이 커질 것으로 전망했다. 부동산 경기 둔화, 정부의 사회간접자본(SOC) 예산 축소 등으로 건설투자는 지난해(-3.5%)에 이어 올해(-0.4%)도 부진할 것으로 봤다.

한국 경제의 버팀목인 재화수출은 상반기에 바닥을 찍고 점차 개선돼 연간으론 0.4%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다. 상반기에는 -2.3%를 예상했는데, 올해 초 자동차 수출이 ‘깜짝’ 호조를 보이면서 직전 전망치(-4%)보다는 감소폭을 줄였다. 하반기에는 반도체 등 IT품목 부진이 이어지겠지만 중국 리오프닝 파급효과 등에 힘입어 3%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대외건전성 지표인 경상수지는 1분기 44억6000만 달러 적자를 기록했지만 연간으로는 240억 달러 흑자를 기록할 거라고 전망했다.

하지만 하반기 이후 경기가 점차 좋아질 거라는 ‘상저하고’ 전망은 유지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이날 금융통화위원회 직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한 분기 정도 연기되는 측면은 있지만 아직은 상저하고 흐름이 유지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추경호 경제부총리도 지난 24일 기자들과 만나 “작년 4분기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어렵고 하반기로 가면 좀 더 나아질 것이라고 여러 차례 말했고 그 흐름은 변화가 없지 않을까 싶다”고 했다.

그래픽=김현서 kim.hyeonseo12@joongang.co.kr

그래픽=김현서 kim.hyeonseo12@joongang.co.kr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지난 2월과 마찬가지로 3.5%를 유지했다. 다만 근원물가(가격 변동성이 큰 식료품ㆍ에너지 제외) 상승률 전망치를 3.3%로 지난 2월 전망치(3%)보다 소폭 상향 조정했다. 올해 정부의 전기ㆍ가스 요금 인상 시기가 늦어지면서 비용인상 압력이 하반기에 나타날 수 있다는 점, 대면 소비가 활성화되면서 음식점ㆍ숙박업 등 서비스 수요가 양호한 흐름을 나타내고 있는 점을 반영했다. 서비스 수요로 올해 취업자 수 증가 규모도 지난 전망치(13만명)의 2배 수준인 25만명(전년 대비)일 거라고 내다봤다.

한은은 주요 경제 지표의 '시나리오 분석'도 제시했다. 중국 경제의 회복이 지연되고 선진국 금융불안이 확대되는 최악 시나리오에서 올 성장률은 기본 1.4%에서 1.1%까지, 물가 상승률은 기존 3.5%에서 3.3%까지 낮아질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중국의 성장 동력 강화되는 최선의 경우에는 성장률이 1.6%로, 물가 상승률도 3.8%로 높아진다고 추정했다.

한편 한은은 내년 성장률은 2.3%, 물가 상승률은 2.4%로 전망했다. 지난 2월 전망치보다 각각 0.1%포인트, 0.2%포인트 하향 조정했다. 석 달 전에 비해 물가 안정세는 예상보다 빨라지겠지만 경기 회복 속도는 당초 예상에 비해 느릴 것으로 본 셈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