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기부금 1.5억 중 강제동원 피해자에 400만원…시민단체 해명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를 지원하는 시민단체가 수억 원을 기부받고도 피해자 지원금으로 소액만 지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해당 단체는 "기부금은 피해자 생계 지원이 아닌 인권과 명예를 회복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지난 1월 12일 오전 국회 본청 앞 계단에서 한일역사정의평화행동과 야당 의원들이 공동주최한 '윤석열 정부 굴욕적 강제동원 해법 반대! 비상시국선언' 기자회견에서 이국언 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 이사장이 일제 강제 동원 피해자 양금덕 할머니의 자서전을 들며 징용토론회 불참 의견을 밝히고 있다. 김성룡 기자

지난 1월 12일 오전 국회 본청 앞 계단에서 한일역사정의평화행동과 야당 의원들이 공동주최한 '윤석열 정부 굴욕적 강제동원 해법 반대! 비상시국선언' 기자회견에서 이국언 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 이사장이 일제 강제 동원 피해자 양금덕 할머니의 자서전을 들며 징용토론회 불참 의견을 밝히고 있다. 김성룡 기자

1억5000만원 수익금 중 420만원 피해자 지원
25일 사단법인 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에 따르면 2021년 이 단체는 기부금 수입금 1억 5500여만원 가운데 6400여만원을 지출했다. 지출금 중 징용 생존 피해자인 양금덕·김성주 할머니 등에게 방문·지원 사업으로 420여만원을 쓰고 나머지 9100여만원은 남겼다.

2022년에는 기부금 1억 4100여만원 중 1억 1000만원을 지출, 3000만원이 남았다. 이 돈까지 포함해 이 단체 기부금 잔액은 총 1억 2100여만원이라고 한다. 이국언 시민모임 이사장은 “한 언론사에서 우리 단체가 기부금을 받아 할머니들에게 지원하지 않고, 돈을 남겨 호주머니에 싸둔 것처럼 보도했다”고 말했다.

이국언 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 이사장이 지난 3월 9일 광주시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미쓰비시 조선여자근로정신대 협상 자료집을 최초로 공개하고 있다. [뉴스1]

이국언 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 이사장이 지난 3월 9일 광주시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미쓰비시 조선여자근로정신대 협상 자료집을 최초로 공개하고 있다. [뉴스1]

“정부가 생계 지원하게끔 활동하는 목적” 
시민모임 측은 “우리는 할머니들 생계를 지원하는 단체가 아니며 소송 중심으로 지원을 해왔다”며 “정부·지자체가 피해자들을 지원하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기자회견이나 소송 등 활동을 통해 이슈화시키는 것이 목표”라고 해명했다.

기부금 중 피해자들에게 소액 지급한 것에 대해서는 “할머니들을 모시고 일본과 서울 등에 기자회견을 다니며 지원한 게 빠졌다. 1억 넘게 받아서 할머니들에게 고작 몇 퍼센트밖에 생색내기식으로 한 것처럼 비쳤다”며 “단체는 피해자 존엄과 인권·명예를 회복시키는 것이 목적”이라고 강조했다.

강제동원 피해 생존자 양금덕, 김성주 할머니를 비롯한 참석자들이 지난 3월 7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앞 계단에서 열린 ‘굴욕적인 강제동원 정부해법 강행 규탄! 일본의 사죄배상 촉구! 긴급 시국선언’에서 레드카드를 들고 있다. [뉴스1]

강제동원 피해 생존자 양금덕, 김성주 할머니를 비롯한 참석자들이 지난 3월 7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앞 계단에서 열린 ‘굴욕적인 강제동원 정부해법 강행 규탄! 일본의 사죄배상 촉구! 긴급 시국선언’에서 레드카드를 들고 있다. [뉴스1]

“이월금, 운영비 아닌 목적기금”
이 단체는 "현재 기부금 잔액 1억 2100여만원은 일반적인 운영비가 아닌 시민역사관 설립 목적으로 남겨둔 것"이라고 했다. 이 이사장은 “피해자들이 고령인 탓에 머지않아 돌아가실 텐데, 돌아가시게 되면 이 싸움(소송 등)이 정말 허무하게 하루아침에 끝나버릴 것”이라고 말했다.

시민모임은 이 때문에 피해자들을 기억·계승할 수 있는 사업을 고민했고, 시민역사관·자료관·박물관 등을 논의해 왔다. 이 이사장은 “김정희 변호사(민변 광주전남 지부장·시민모임 감사)가 먼저 자신부터 기부하겠다고 입장을 밝혀 변호사들이 십시일반 모아 당시 5000만원 정도 모였다”며 “아직 사업을 집행하지 못해 현재까지 이월금이 있으며, 특별하게 기부한 목적기금”이라고 말했다.

지난 3월 21일 오전 광주시청 평화의 소녀상 앞에서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 양금덕 할머니와 그를 돕는 시민사회단체 활동가들이 기자회견을 열어 '한일 정상회담 규탄'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3월 21일 오전 광주시청 평화의 소녀상 앞에서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 양금덕 할머니와 그를 돕는 시민사회단체 활동가들이 기자회견을 열어 '한일 정상회담 규탄'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

대국민 모금 논란도…“오해 확산 없도록 노력”
이와함께 시민모임은 최근 일각에서 제기된 "징용 생존 피해자 3인에 대한 판결금 지급을 위해 대국민 모금을 한다"는 주장은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했다. 시민모임은 “정부안에 반대하는 강제동원피해자를 도와줄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달라는 시민 의견이 많아 이에 대한 방법을 논의하고 있을 뿐"이라고 했다.

한편 최근 일제 징용 피해자를 돕는 시민 단체가 실제 배상 판결이 나오기 한참 전에 피해자들과 ‘돈 20% 지급’ 약정서를 맺은 것으로 드러나면서 ‘과거사 비즈니스’ 논란이 제기됐다. 이에 시민 단체는 “사회적 참사 등 공익 소송에서 일반적으로 있어왔던 일”이라고 반박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