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 어디서든 5분 이내 녹색공간을 만날 수 있는 정원도시 구상이 발표됐다.
오세훈 시장은 24일 시청에서 기자설명회를 열어 "서울 곳곳의 공원녹지를 늘려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시민이 집 가까운 곳에서 여가생활을 즐길 수 있게 하겠다"며 '정원도시, 서울' 구상을 브리핑했다.
시는 우선 정원을 조성할 땅을 확보하기 위해 과거에 있던 건축물을 헐어내거나, 재건축과 재개발 과정에서 녹지를 받아내는 등 최대한 공간을 비우겠다는 방침이다.
실제 서울 공원면적은 2009년 168.16㎢에서 지난해 172.68㎢로 증가했다. 특히 훼손지 복원 등으로 조성된 생활권도시림이 2009년 31.1㎢에서 2021년 47.3㎢로 늘었다. 서울의 공원율(작년 기준 28.53%)과 1인당 도시공원면적(17.74㎡)도 확대됐다. 다만 국립공원 등 외곽산림을 제외한 '도보 생활권공원' 면적은 1인당 5.65㎡에 불과해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공원은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시는 꽉 찬 도심의 공간을 비워 다양한 볼거리가 있는 열린 정원으로 만들기로 했다. 빈 땅에 건물을 짓지 않고 시민이 여가생활을 즐길 수 있는 자유로운 공간으로 남겨두겠다는 것이다.
110년 역사의 숨결을 품은 송현동 부지를 이건희미술관 외에 비워둬 많은 시민이 즐길 수 있는 도심 속 특별한 정원으로 꾸민다. 용산공원은 세계 여러 나라의 대표 정원을 선보이는 '세계정원'과 시민과 함께 만들어가는 '내가 그린 정원'을 조성하는 방안을 정부에 건의했다.
이 밖에도 마곡 3지구 유휴부지의 펜스를 걷어내 서울식물원과 연계한 정원으로 조성하고, 국회대로와 영동대로, 경부고속도로는 모두 지하화를 통해 상부에 있던 기존 도로를 비우고 공원과 정원으로 탈바꿈시킬 계획이다.
아울러 서울 전역의 단절된 녹지를 연결하고 정비하는 대규모 사업인 '서울초록길'을 하반기부터 추진해 2026년까지 총 2063㎞의 녹색네트워크로 만든다. 기존에 8개 코스였던 서울둘레길은 21개 코스로 나눠 짧고 다양한 구간으로 개선한다. 접근성 향상을 위해 지하철과 연결되는 구간도 기존 17개소에서 49개소로 늘린다.
또 광화문에서 노들섬을 거쳐 노량진까지 약 10㎞ 국가상징가로를 조성해 서울에서 가장 긴 '가로정원'을 만든다.
시는 서울정원박람회를 올해부터 두 달간 월드컵공원 하늘공원에서 확대 개최한다. 내년에는 유명 해외작가들의 수준 높은 정원을 볼 수 있는 서울국제정원박람회를 뚝섬한강공원에서 봄부터 가을까지 6개월간 열 예정이다.
오 시장은 "공원녹지가 도시계획에 우선하는 '녹색 우선 도시'를 선언한다"며 "2026년까지 약 6800억원을 투입해 수천만 송이의 꽃과 수백만 그루의 나무를 심어 시민 누구나 사는 곳의 5분 거리에서 녹지공간을 만날 수 있게 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