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車 산업 위해 부품 생태계 키운다…14조 자금 공급, 2조 R&D

중앙일보

입력

지난달 경기 고양시의 한 전기차 충전소 모습. 연합뉴스

지난달 경기 고양시의 한 전기차 충전소 모습. 연합뉴스

올해 사상 첫 수출 800억 달러를 노리는 자동차 산업을 뒷받침하기 위해 정부와 기업이 함께 부품 생태계 육성에 나선다. 부품 업계에 14조원 이상의 자금을 공급하는 한편, 미래차 연구개발(R&D)과 인력 양성에도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3일 서울에서 자동차 부품 산업전략 원탁회의를 열고 '미래차 전환 및 수출 지원대책'을 발표했다. 향후 미래차에 필수적인 SW(소프트웨어)·전장 등 부품 산업을 키운다는 취지다. 내연기관차에서 미래차로 적기에 전환할 수 있도록 정부·기업이 손을 잡겠다는 의미도 담겼다. 이날 회의에 앞서 국내 5개 완성차 제조사는 부품 업계와 상생 협력을 강화하겠다는 공동 선언도 진행했다.

전기차처럼 단가가 높은 친환경차를 앞세운 자동차 산업은 최근 호조세를 이어가고 있다. 올해 1~4월 자동차 수출액(완성차·부품 합산)은 역대 최고인 309억 달러를 달성했다. 지난 3월엔 국내 자동차 생산이 6년 만에 월 40만대를 돌파했다. 정부는 올 연말까지 자동차(570억 달러)와 부품(240억 달러)을 합쳐 역대 최대인 800억 달러 이상의 수출 실적을 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날 지원대책엔 이러한 분위기를 이어가겠다는 의도가 깔렸다.

우선 부품업계 유동성 확보·투자 지원 등을 위해 민관 합동으로 14조3000억원 이상의 자금을 투입한다. 정부는 산업은행·기업은행 등을 통해 8조9000억원을 공급하기로 했다. 미래차 투자 자금이 필요한 부품 기업들엔 시중은행을 통해 올해 2500억원 규모의 저리 대출 상품을 운영한다. 현대자동차그룹은 대출 보증, 공급망 안정화 기금 등 협력사와의 상생에 나설 예정이다. 여기에 더해 2030년까지 국내 전기차 생산 규모를 5배로 확대해 부품 생태계 일감도 충분히 확보할 계획이다. 2027년 상반기까진 국내에서만 누적 200만대의 친환경 미래차를 보급한다는 목표다.

23일 서울 포시즌스호텔에서 열린 자동차부품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미래차 전환 촉진을 위한 지원기관 업무협약 및 완성차사 상생협력 선언식에서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을 비롯한 협약 참여 기업 대표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23일 서울 포시즌스호텔에서 열린 자동차부품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미래차 전환 촉진을 위한 지원기관 업무협약 및 완성차사 상생협력 선언식에서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을 비롯한 협약 참여 기업 대표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미래차 시대에 대비해 부품업계의 체질 강화도 진행한다. 자율주행·친환경차 분야에 2027년까지 2조원 규모의 R&D 자금을 투입한다. SW·센서 등 6대 미래차 핵심 부품의 국산화를 추진하고, 배터리팩 경량화 소재 등의 개발을 지원하는 식이다. 또한 2030년까지 약 3만명의 미래차 핵심 인력도 양성한다는 계획이다. 이 가운데 1만명은 SW 중심 연구 인력으로 특성화대학원 지정 등을 통해 키운다. 현장 실무인력 양성을 위해 지역 대학·부품기업 간 채용 연계 등도 지원할 예정이다.

그 밖엔 중동·아세안 등 해외 시장에 대한 자동차 부품 수출 확대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올 상반기를 목표로 '미래자동차 부품산업의 전환 촉진 및 생태계 육성에 관한 특별법'(미래차 부품 특별법) 제정도 추진한다. 자동차 생태계의 미래차 전환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미래차 기술 범위를 기존 하드웨어에서 SW로 확대하는 내용 등이 담길 예정이다.

조철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향후 자동차 수출은 완성차보다 부품 산업에서 주도할 여지가 크다. 내연차·미래차 부품 업체 모두 대형화나 자동화 등으로 경쟁력을 키워야 한다"면서 "미래차에 특화된 인력을 키우는 게 중요하지만, 부품 업계에서 꾸준히 근무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주는 대책도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