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돌급 인기…日근대화 이끈 '조슈 파이브'에 그자도 있다

중앙일보

입력

일본 야마구치현 시모노세키의 미모스소 가와 공원에 전시된 조슈번 시절 대포의 복제품. 막부 말기 수많은 대포를 제작한 조슈번의 야스오가문에 대대로 내려오는 20분의 1크기의 모형을 참고해 실제 크기로 복원했다. 뒤쪽에 보이는 긴 다리는 시모노세키와 기타규슈시 모지구를 잇는 간몬교(관문대교)다.

일본 야마구치현 시모노세키의 미모스소 가와 공원에 전시된 조슈번 시절 대포의 복제품. 막부 말기 수많은 대포를 제작한 조슈번의 야스오가문에 대대로 내려오는 20분의 1크기의 모형을 참고해 실제 크기로 복원했다. 뒤쪽에 보이는 긴 다리는 시모노세키와 기타규슈시 모지구를 잇는 간몬교(관문대교)다.

흑백사진 속 다섯 젊은 남자는 누구인가. 일본 혼슈의 서쪽 끝자락 야마구치현 하기(萩)시를 걷다 보면 드는 의문이다. 웬만한 유적지 곳곳에서 나비넥타이 정장에 반듯하게 머릿결을 만진 다섯 청년을 볼 수 있다. 다소 긴장한 표정의 이들은 19세기 후반 메이지유신 전후해 활약했던 조슈번(長州藩·지금의 야마구치현) 출신 사무라이 5인. 사진은 이들이 1863년 도쿠가와 막부(에도 막부)의 쇄국 정책을 어기고 영국 밀항 유학에 올랐을 때 찍은 것이다. 2006년 이들 5인을 다룬 영화 ‘조슈 파이브’가 개봉하면서 요즘은 그 별칭으로 불린다. 서구 열강의 눈부신 산업화를 목도하고 귀국해 일본 근대화의 주역으로 활약한 ‘조슈 파이브’ 중에 한국인이라면 모를 수 없는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1841~1909)가 있다.

밀항 당시 22세였던 그를 사진으로 만난 건 지난 5~7일 시모노세키, 하기, 후쿠오카 등을 찾았을 때다. 한·일 관계의 냉각에 코로나19까지 겹쳐 바닥을 쳤던 관광 수요가 되살아나면서 이 지역을 찾는 한국인의 발걸음도 늘고 있다. 일본 본토 4대 섬 가운데 남쪽 규슈에 위치한 후쿠오카 공항은 한국에서 비행시간이 1시간30분 남짓으로 가깝다. 간몬(關門) 해협을 가로질러 후쿠오카현과 야마구치현을 잇는 길이 1068m의 간몬교(관문대교)를 건너면 혼슈와 규슈를 동시에 경험할 수 있다.

무엇보다 야마구치현의 해상 관문 시모노세키는 임진왜란 후 조선통신사가 16차례 들렀던 상륙지이고 여기서 차로 1시간여 거리의 하기는 ‘메이지 유신의 요람’ 아닌가. 한·일이 이제까지와 다른 미래를 만들기 위해서라도 서로 더 알아야 한다는 상념 속에 이곳들을 둘러봤다.

일본 야마구치현 하기(萩)시에 위치한 메이린칸(明倫館, 메이린학사)에 전시된 이른바 조슈 파이브(조슈 5걸) 등신대. 관광객이 함께 사진을 찍을 수 있게 의자를 비치했다. 왼쪽부터 이노우에 마사루(井上勝), 엔도 긴스케(遠藤謹助), 이노우에 가오루(井上馨),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 야마오 요조(山尾庸三). 강혜란 기자

일본 야마구치현 하기(萩)시에 위치한 메이린칸(明倫館, 메이린학사)에 전시된 이른바 조슈 파이브(조슈 5걸) 등신대. 관광객이 함께 사진을 찍을 수 있게 의자를 비치했다. 왼쪽부터 이노우에 마사루(井上勝), 엔도 긴스케(遠藤謹助), 이노우에 가오루(井上馨),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 야마오 요조(山尾庸三). 강혜란 기자

“저쪽 건물은 현재도 소(초등)학교가 운영 중이고요, 이 옛 건물은 막부 말기 박물관 및 하기 세계유산 홍보관으로 쓰입니다.”(안내원)

조슈번이 1718년 창설해 일본 3대 학교로 불린 메이린칸(明倫館). 1849년 현재 터로 옮겨온 이래 계속 교육기관으로서 역할하고 있단 얘기다. 1·2층에 걸쳐 각종 근대 유물을 전시한 가운데 1층 복도 한쪽의 ‘조슈 파이브’ 포토존이 도드라졌다. 흑백 사진 속 5인을 실제 크기의 등신대 판넬로 뽑고 의자도 배치해 마치 아이돌 스타처럼 함께 ‘인증샷’을 찍을 수 있게 했다.

훗날 조선총독부 초대 통감을 지낸 이토 외에 ‘외교의 아버지’ 이노우에 가오루(밀항 당시 27세), ‘조폐의 아버지’ 엔도 긴스케(27세), ‘철도의 아버지’ 이노우에 마사루(20세), ‘공학의 아버지’ 야마오 요조(26세)를 아우른다. 막부 말기와 근대화 산업유산을 자랑스레 소개하는 늙은 안내원의 얼굴이 어느 때보다 밝았다.

일본 야마구치(山口)현 하기(萩)시에 위치한 쇼카손주쿠(松下村塾). 도쿠가와 막부 말기 조슈(長州)번의 요시다 쇼인(吉田松陰)이 가르친 사설학당으로 다카스기 신사쿠, 기도 다카요시, 이토 히로부미 등 이른바 조슈번 존왕양이(尊王攘夷) 지사들이 모두 그의 제자다. 메이지 유신의 요람으로 평가받으며 메이지 일본의 산업혁명 유산 제철, 제강, 조선, 석탄산업 등록 경위(규슈, 야마구치 근대화산업유산 군)의 하나로 2015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됐다. 강혜란 기자

일본 야마구치(山口)현 하기(萩)시에 위치한 쇼카손주쿠(松下村塾). 도쿠가와 막부 말기 조슈(長州)번의 요시다 쇼인(吉田松陰)이 가르친 사설학당으로 다카스기 신사쿠, 기도 다카요시, 이토 히로부미 등 이른바 조슈번 존왕양이(尊王攘夷) 지사들이 모두 그의 제자다. 메이지 유신의 요람으로 평가받으며 메이지 일본의 산업혁명 유산 제철, 제강, 조선, 석탄산업 등록 경위(규슈, 야마구치 근대화산업유산 군)의 하나로 2015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됐다. 강혜란 기자

기껏해야 20대 하급 사무라이였던 이들이 어쩌다 막부의 서슬퍼런 쇄국령을 어기고 밀항 유학길에 올랐을까. 이를 이해하려면 메이린칸에서 멀지 않은 쇼카손주쿠(松下村塾)를 가봐야 한다. ‘메이지 유신의 아버지’로 불리는 요시다 쇼인(吉田松陰·1830~1859)이 운영했던 사설학당이다.

그가 속한 조슈번은 도쿠가와 집권기 내내 변방의 설움 속에 막부 권력을 향한 복수의 칼을 갈다가 19세기 중반 기회를 잡았다. 1853년 미국 페리 제독이 이끄는 흑선 함대를 시작으로 열강의 무력 개항 요구가 거세지자 반(反)서양 정서가 반막부 운동으로 이어졌다. 봉건 질서의 중심이던 막부를 타도하고 천황(일왕)에게 권력을 되돌려주자는 존왕양이(尊王攘夷) 운동에서 조슈번이 선봉에 섰다.

다만 요시다 쇼인은 양이(오랑캐를 배척함)를 위해서라도 서양을 잘 알아야 한다는 쪽이었다. 시모노세키항이 거듭 서양 함대의 포격에 박살나면서 군사·산업의 혁신 필요성을 절실히 깨쳤다. 요시다가 29세에 반역죄로 참수형을 당한 뒤에도 쇼카손주쿠는 50년가량 이어지며 신분·출신을 가리지 않고 ‘개혁파’를 길러냈다.

일본 야마구치현 하기(萩)시에 위치한 쇼카손주쿠(松下村塾)의 내부. 도쿠가와 막부 말기 조슈(長州)번의 요시다 쇼인(吉田松陰)이 가르친 사설학당으로 쇼인 사후에도 지속되면서 메이지 유신의 중요한 요람이 됐다. 사진 속 인물들은 첫줄 왼쪽부터  구사카 겐즈이 (久坂玄瑞) 다카스기 신사쿠(高杉晋作) 요시다 쇼인(吉田松陰) 마에바라 잇세이(前原一誠) 기도 다카요시(木戶孝允) 둘째줄 왼쪽부터 야마다 아키요시(山田顕義) 시나가와 야지로(品川 弥二郎) 노무라 야스시(野村靖) 야마가타 아리토모(山縣有朋)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 셋째줄 왼쪽부터 와타나베 고조(渡辺蒿蔵) 마사키 다이조(正木退蔵) 사카이 지로(境二郎) 이이다 기치지로(飯田吉次郎) 가와키타 요시지로(河北義次郎). 강혜란 기자

일본 야마구치현 하기(萩)시에 위치한 쇼카손주쿠(松下村塾)의 내부. 도쿠가와 막부 말기 조슈(長州)번의 요시다 쇼인(吉田松陰)이 가르친 사설학당으로 쇼인 사후에도 지속되면서 메이지 유신의 중요한 요람이 됐다. 사진 속 인물들은 첫줄 왼쪽부터 구사카 겐즈이 (久坂玄瑞) 다카스기 신사쿠(高杉晋作) 요시다 쇼인(吉田松陰) 마에바라 잇세이(前原一誠) 기도 다카요시(木戶孝允) 둘째줄 왼쪽부터 야마다 아키요시(山田顕義) 시나가와 야지로(品川 弥二郎) 노무라 야스시(野村靖) 야마가타 아리토모(山縣有朋)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 셋째줄 왼쪽부터 와타나베 고조(渡辺蒿蔵) 마사키 다이조(正木退蔵) 사카이 지로(境二郎) 이이다 기치지로(飯田吉次郎) 가와키타 요시지로(河北義次郎). 강혜란 기자

다다미 8장과 10장짜리 방 두개로 이뤄진 학당 안엔 주요 ‘지사’(존왕양이 활동가를 부르는 말) 사진이 걸려 있다. 민간기병대를 창설해 막부와의 싸움(제2차 조슈 정벌)을 승리로 이끈 다카스기 신사쿠(高杉晋作)와 메이지 유신 3걸로 불리는 기도 다카요시 등이다(유신 3걸 중 나머지 둘은 사쓰마번 출신의 사이고 다카모리와 오쿠보 도시미치). 특히 다카스기는 야마구치현에서 가장 존경받는 인물로, 이곳에서 세습정치를 해온 고(故) 아베 신조 총리와 그의 부친 아베 신타로의 신(晋)자가 신사쿠에서 따왔을 정도다. 사진들 중엔 쇼카손주쿠 문하생 중 막내뻘이던 이토 히로부미도 있다.

“(그들의) 번영한 모습을 보고 거의 망연자실해 양이 따위라고 하는 것은 일순간에 날아가고 말았다.” 쇼인 처형 4년 뒤 밀항 영국행에 나선 조슈 5인은 런던 항구에 내린 순간을 훗날 이렇게 회고했다. 바다엔 증기선이, 시내엔 고층 건물이 빼곡했고 교외로 연결되는 증기기관차가 칙칙폭폭 달렸다. 다섯 심장에 양인처럼 부국강병을 통해 조국을 일신하겠다는 야심이 끓어올랐을 것이다.

조슈번에 이어 영국에 유학생을 보낸 사쓰마번(지금의 가고시마현)까지 앞장 서 막부 타도의 기세가 더해졌다. 도사번 출신의 하급 사무라이 사카모토 료마(1836~1867)의 중재로 사쓰마번과 조슈번 사이에 삿초(薩長) 동맹이 맺어졌고, 이에 힘입어 1867년 역사적인 대정봉환(大政奉還)이 이뤄졌다. 15대 쇼군 도쿠가와 요시노부가 메이지 일왕에게 통치권을 반납한 사건이다. 이듬해인 1868년 왕정복고가 단행되면서 메이지유신이 본격적으로 열렸다.

일본 야마구치현 하기(萩)시에 위치한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의 옛 저택. 총리대신 시절 도쿄에서 살던 집을 1907년 이곳에 옮겨와 지었다고 한다. 메이지 시대 건축양식을 엿볼 수 있고 그의 생애를 소개하는 사진자료들이 많아 일종의 기념관처럼 쓰이고 있다. 강혜란 기자

일본 야마구치현 하기(萩)시에 위치한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의 옛 저택. 총리대신 시절 도쿄에서 살던 집을 1907년 이곳에 옮겨와 지었다고 한다. 메이지 시대 건축양식을 엿볼 수 있고 그의 생애를 소개하는 사진자료들이 많아 일종의 기념관처럼 쓰이고 있다. 강혜란 기자

일본 야마구치현 하기(萩)시에 위치한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의 옛 저택은 그의 생애를 소개하는 사진·자료들이 많아 일종의 기념관처럼 쓰이고 있다. 이른바 조슈 파이브(조슈 5걸) 시절 이토 히로부미(사진 속 오른쪽 위)와 나머지 영국 밀항 유학인들을 소개하는 자료. 강혜란 기자

일본 야마구치현 하기(萩)시에 위치한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의 옛 저택은 그의 생애를 소개하는 사진·자료들이 많아 일종의 기념관처럼 쓰이고 있다. 이른바 조슈 파이브(조슈 5걸) 시절 이토 히로부미(사진 속 오른쪽 위)와 나머지 영국 밀항 유학인들을 소개하는 자료. 강혜란 기자

쇼카손주쿠 인근에 이토가 자랐던 옛집과 말년에 지은 별처가 나란히 있다. 일종의 기념관이 된 별처 전시물엔 그가 조슈 파이브 외에도 이와쿠라(岩倉) 사절단 일원이었음이 강조돼 있다. 1871년 메이지 일왕의 공경대신 이와쿠라 도모미를 단장으로 서양 12개국 시찰에 나선 사절단이다. 사절단의 목적은 두가지, 개방·개혁의 메이지 신정부 출범을 알리면서 그전까지 각국과 맺은 불평등조약을 개정해보려는 것과 선진국의 헌법과 인프라 체계를 연구해서 일본에 심으려는 것이었다. 약 1년8개월간 시찰을 마치고 돌아온 이들이 주축이 돼 1889년 일본제국헌법을 제정했다. 동아시아 첫 근대적 입헌 정부의 탄생이다.

일본 야마구치현 시모노세키(下関)시에 위치한 슌판로(春帆楼)와 일·청강화기념관 전경. 1895년 청일전쟁을 매듭지은 시모노세키 조약이 슌판로에서 열린 것을 기념해 1937년 바로 옆에 기념관이 개관했다. 내부에 강화회의 당시 실제 사용된 의자와 비품, 양국 전권 대표였던 이토 히로부미와 이홍장(李鴻章, 리훙장)의 유묵 등이 전시돼 있다. 슌판로는 1945년 공습으로 소실되고 현재 건물로 새로 지어졌지만 기념관은 피해를 면해 2011년 국가 유형 문화재로 등록됐고 2015년 시모노세키 시립역사박물관의 분관이 됐다. 강혜란 기자

일본 야마구치현 시모노세키(下関)시에 위치한 슌판로(春帆楼)와 일·청강화기념관 전경. 1895년 청일전쟁을 매듭지은 시모노세키 조약이 슌판로에서 열린 것을 기념해 1937년 바로 옆에 기념관이 개관했다. 내부에 강화회의 당시 실제 사용된 의자와 비품, 양국 전권 대표였던 이토 히로부미와 이홍장(李鴻章, 리훙장)의 유묵 등이 전시돼 있다. 슌판로는 1945년 공습으로 소실되고 현재 건물로 새로 지어졌지만 기념관은 피해를 면해 2011년 국가 유형 문화재로 등록됐고 2015년 시모노세키 시립역사박물관의 분관이 됐다. 강혜란 기자

메이지 일왕(재위 1867~1912)과 고종(재위 1863~1907)은 1852년생 동갑내기로 비슷한 격변기를 살았다. 일본은 함포를 앞세운 서양 열강에 문호를 개방했던 굴욕을 그대로 응용해 운요호 사건(1875)에 이은 강화도조약(1876)으로 조선을 강제 개항시킨다. 이어 갑오농민전쟁(1894~95)을 빌미로 청나라와 맞붙어 예상밖 승리를 거뒀다. 강화협상을 위해 당시 청나라 실세 리훙장(李鴻章)이 시모노세키까지 왔을 때 그와 마주 앉은 일본 측 전권대표가 이토다.

쇼카손주쿠의 배움에 바탕해 이와쿠라 사절단의 일원으로 세계문물을 섭렵하고 온 그는 53세의 노회한 정치가가 돼 중화 대국을 무릎 꿇렸다. 시모노세키 조약을 통해 조선에 대한 지배욕을 드러낸 일본은 이후 러일 전쟁에서 완승하면서 을사늑약(1905)을 체결했고 5년 뒤 조선왕조는 오백년 역사에 종지부를 찍었다.

일본 야마구치현 시모노세키시에 위치한 조선통신사 상륙기념비. 임진왜란 이후 조선통신사가 일본을 방문했을 때 처음 내렸던 곳을 기념해 현재의 아카마(赤間) 신궁 맞은편 공원에 세워져 있다. 멀리 보이는 노란 지붕은 1895년 청일전쟁을 매듭짓는 시모노세키 조약이 체결된 슌판로다. 강혜란 기자

일본 야마구치현 시모노세키시에 위치한 조선통신사 상륙기념비. 임진왜란 이후 조선통신사가 일본을 방문했을 때 처음 내렸던 곳을 기념해 현재의 아카마(赤間) 신궁 맞은편 공원에 세워져 있다. 멀리 보이는 노란 지붕은 1895년 청일전쟁을 매듭짓는 시모노세키 조약이 체결된 슌판로다. 강혜란 기자

시모노세키 조선통신사 상륙지에서 고개 들어 언덕을 보면 당시 강화조약을 체결했던 슌판로가 보인다. 바로 옆엔 당시 회의 장소를 재현한 일·청강화기념관도 있다. 그러나 이곳엔 이후 제국주의 식민 침탈로 폭주한 역사는 글자 하나 기록돼 있지 않다. 하기의 산업유산들 역시 일본인에게 ‘자력 근대화’의 산물로 미화될 뿐, 이후 침략전쟁으로 이어져 한국 등 주변국에 고통을 준 역사는 생략돼 있다. 쇼인이 씨를 뿌린 정한론(征韓論)에 대해서도 침묵하긴 마찬가지다.

하기 시립박물관을 안내한 직원은 “2차대전 공습을 운 좋게 비껴나 수백년 전 도시 조성 윤곽이 그대로 보존돼 있다”고 자랑했다. 그 태평양전쟁이 어떻게 초래된 건지는 모르거나 말하고 싶지 않은 듯했다. 과거에만 매달려선 앞으로 나아갈 수 없다. 그렇다고 아예 잊어버린다면 불행과 과오가 반복될 수 있다. 일본의 역사를 여행하는 것은 우리 역사를 되돌아보는 것과 나란히 이뤄질 수밖에 없고 그래야 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