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비즈 칼럼] 대-중소기업 격차 해소, 상생 훈련이 첫 단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4면

어수봉 한국산업인력공단 이사장

어수봉 한국산업인력공단 이사장

현대자동차가 10년 만에 생산직 근로자 400명을 공개 채용으로 모집했다. 공고 당시 홈페이지의 ‘입사 지원 안내문’ 조회 수가 30만을 넘어서며, 수많은 취업준비생이 꿈꾸는 직장이라는 것을 보여줬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2월 기준 비경제활동인구 중에 노동시장 미스매치 등을 이유로 ‘구직을 단념한 자’는 35만8000여 명에 이르며, ‘그냥 쉬었다’라고 응답한 청년(15~29세)이 49만7000명이다. ‘몸이 좋지 않아서’(39.6%)를 제외하고 ‘원하는 일자리를 찾기 어려워서’(18.1%) 쉰 사람이 가장 많았다.

반면 2022년 하반기 기준, 기업의 구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채용하지 못한 ‘미충원율’(15.4%)은 2021년 같은 기간에 비해 3.4%포인트(p) 높게 나타났다. 일자리가 있어도 사람이 없어서 구하지 못하는 현실이다.

구직자가 열망하는 일자리는 당연히 높은 임금과 좋은 근로 조건을 가진 대기업이나 공기업에 있다. 실제로 2021년 통계를 보면 전체 근로자의 평균 임금이 333만원일 때, 대기업 근로자는 563만원으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규모가 큰 기업일수록 생산성이 높은 근로자를 고용할 수 있는 여력이 크고, 이로 인한 생산성 차이는 근로자의 임금 격차를 심화시킨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생산성 격차와 그에 따른 임금, 근로 조건 등의 차이는 단숨에 좁혀질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기업 규모에 따른 임금 격차가 악화하지 않게 억제하는 제도적 장치가 잘 작동되지 않는다는 것이 그간의 경험이다. 시간이 걸리더라도 효과적인 해법은 중소기업의 생산성을 높여 격차를 줄일 수 있도록 직무교육·훈련을 지원하는 것이다.

그러나 중소기업이 스스로 양질의 훈련을 제공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훈련에 필요한 시설·장비에 대한 투자와 훈련과정 개발, 훈련에 참여하기 위한 시간까지도 모두 기회비용이다. 따라서 서로 다른 시설·장비를 보유한 기관끼리 훈련 인프라를 공유하거나, 훈련과정을 개발하고 함께 훈련하는 것이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여기에 착안해 공단은 ‘인적자원개발’의 대-중소기업 상생을 위해 68개 공동훈련센터를 운영 중이며, 지난해 훈련 인원은 8만2000여 명에 이른다.

우수한 시설·자원을 보유한 대기업이 동종업계 중소기업과 함께 하는 ‘상생 훈련’은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윈-윈 전략이자 기업 간 격차를 줄이는 첫 단추이다. 앞으로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상생 공동 훈련’이 전 산업으로 확산해 대한민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 시장 자체를 탄탄히 하는 밑거름이 되기를 바란다.

어수봉 한국산업인력공단 이사장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