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껍데기만 남았다? 절대 그렇지 않다…유엔사 지지 필요할 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한미연합사령부의 역할이 부각되고 일각에선 유엔군사령부가 껍데기만 남았다고 하지만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

한국-유엔사 친선협회(KUFA)가 지난해 12월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을 예방했다. 왼쪽부터 김숙 전 유엔 대사, 안광찬 KUFA 회장, 반기문 전 사무총장, 장광현 KUFA 사무총장

한국-유엔사 친선협회(KUFA)가 지난해 12월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을 예방했다. 왼쪽부터 김숙 전 유엔 대사, 안광찬 KUFA 회장, 반기문 전 사무총장, 장광현 KUFA 사무총장

안광찬(예비역 육군 소장) 전 유엔사 군사정전위원회 수석대표는 15일 통화에서 한국-유엔사 친선협회(KUFA)의 설립 이유를 이같이 강조했다. 그가 초대 회장을 맡은 해당 협회는 16일 오후 6시 서울 용산구 로카우스 육군호텔에서 창립 기념행사를 열고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간다.

그동안 한미동맹과 관련된 우호 협회는 많이 존재해왔지만 유엔사와 친선을 도모하는 협회가 비영리 민간단체로 세워지는 건 이번이 처음이라고 안 회장은 설명했다. 그만큼 한국 사회에서 유엔사의 역할이 제대로 된 평가를 받지 못했다는 얘기다. 안 회장은 “북한· 핵미사일 위기가 커지는 상황에서 유엔사에 대한 국민적 성원과 지지가 필요하다”며 “정전협정 70주년을 맞은 올해 협회 창설의 적기로 봤다”고 말했다.

KUFA는 각종 교육·세미나·언론 기고 등으로 유엔사의 중요성을 홍보하는 데 우선 주력할 방침이다. 정전협정 관리, 유사시 유엔군 전력 제공이라는 두 축을 기본으로 하는 유엔사는 한반도 전구 작전사령부인 연합사와는 또 다른 중요 의미를 갖는다고 안 회장은 주장했다. 바로 전쟁 억제의 성과를 거두는 데 유엔사가 갖는 역할이다. 그는 “북한과 중국을 포함한 공산권, 그리고 국내 일부의 집요한 유엔사 폄훼로 ‘유엔사 경시 경향’이 퍼지고 있다”며 “이런 시각이 커지면 유사시 유엔사의 활동이 위축되고 결과적으로 국제사회 체계적 지원도 어려워질 수 있어 전쟁 발발 가능성도 커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마침 현 정부는 지난 정부에서 축소된 유엔사 역할을 복원하겠다는 뜻을 여러 차례 밝힌 바 있다. 유엔사와 갈등을 빚던 것과는 확연히 달라진 기류다. 문재인 정부 시절 2019년 11월 탈북 어민 북송 과정에선 판문점 출입을 관할하는 유엔사가 관련 정황을 구체적으로 설명 듣지 못해 ‘패싱’ 논란이 일었다.

반면 윤석열 정부는 유엔사 역할 강화를 공언했다. 국방부는 올해 하반기 한·미 국방장관 회담인 안보협의회의(SCM)와 서울안보대화 시점에 맞춰 처음으로 유엔사 회원국 국방장관들과 다자 회의를 열 계획이다.

KUFA 창립 브로셔

KUFA 창립 브로셔

KUFA는 2021년 유엔사 군정위 수석대표 포럼을 시작으로 지난 2월 사단법인 설립 허가, 지난 4일 자문·전문위원 위촉식을 거치면서 정식 창립을 차곡차곡 준비해왔다. 안 회장은 “16일 창립 기념행사에 200여 명이 함께 해주시기로 했다”며 “이종섭 국방부 장관, 폴 러캐머라유엔사령관은 물론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 김재창 전 한미연합사 부사령관, 박정환 육군참모총장, 이철우 경북지사도 참석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반 전 사무총장은 협회의 명예고문을 맡고, 존 틸럴리 전 유엔사령관 등이 고문직을 수락했다. 이밖에 유엔 안보리 결의와 워싱턴 선언에 따라 유사시 유엔사에 병력과 장비를 보낼 전력제공국 17개국 중 13개국 대사관에서도 참석을 알려왔다. 이중 튀르키예와 이탈리아는 주한 대사가 직접 참석한다고 한다.

안 회장은 “6·25 전쟁 중 1129일 전투한 유엔군은 사망 4만 1000여 명. 부상 10만 5000명, 실종 5500명 등 모두 15만여 명의 희생자를 냈다”며 “이들 국가와 친선 관계를 발전시켜 유사시 우리나라를 도울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도 만들고자 한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