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사설

코인게이트로 번져 가는 김남국 의원의 위믹스 투자 의혹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0면

더불어민주당 '김남국 의원 코인 진상조사단' 팀장인 김병기 의원이 11일 진상조사단 첫 회의를 마친 뒤 취재진의 질문을 받고 있다. 김현동 기자

더불어민주당 '김남국 의원 코인 진상조사단' 팀장인 김병기 의원이 11일 진상조사단 첫 회의를 마친 뒤 취재진의 질문을 받고 있다. 김현동 기자

해명할수록 의구심만 커져 가는 투자금의 출처

공시보다 30% 많은 유통량, 정치권 로비 의혹도

지난 대선 당시 더불어민주당 선대위 온라인 소통단장을 맡았던 김남국 의원의 ‘위믹스’ 코인(가상화폐) 투자 관련 의혹이 갈수록 번지고 있다. 개인의 일탈을 넘어 국회 전체의 입법 로비 의혹으로까지 확산됐다. 김 의원이 지난해 트래블룰(코인 실명제) 시행 직전 업비트(가상화폐 거래소) 지갑(계좌)을 통해 최대 60억원어치의 위믹스 코인 80만 개를 인출했다는 게 첫 언론 보도였다. 이때만 해도 공직자윤리법상 재산신고 누락이나 관련 과세 유예 법안 발의로 인한 이해 충돌 소지, 우월한 정보 접근을 활용한 부당거래 가능성 등 의원 개인의 윤리 문제에 비판이 집중됐다.

하지만 당초 알려진 업비트 지갑 외에 김 의원 소유로 추정되는 또 다른 지갑(카카오의 지갑 서비스인 KLIP)이 속속 드러나고 투자 규모도 최대 137만 개까지 불어나면서 자금 출처에 대한 의혹이 증폭되고 있다. 김 의원은 처음엔 코인을 아예 현금화하지 않았다고 했다가 언론이 추가 의혹을 제기하자 2021년 보유 중이던 LG디스플레이 주식을 전부 매각한 9억8000만원을 초기 코인 투자금으로 썼고, 원금은 회수해 전세금으로 썼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2021년 말 재산신고 내역이나 코인 거래 흐름, 그리고 코인 커뮤니티가 찾아낸 미공개 지갑 등을 종합하면 이 해명 역시 믿기 어렵다. 또 블록체인 기반의 코인 거래는 은행 계좌와 달리 지갑 주소만 알면 누구나 거래 내역을 쉽게 추적할 수 있는데 클릭 몇 번으로 뻔히 드러날 거짓 해명을 김 의원이 왜 연이어 내놓았는지도 의문이다.

김 의원의 코인 거래는 지난 대선 직전에 집중됐었다. 당시 이재명 민주당 대선후보 역시 위믹스와 직접적 관련이 있는 P2E(돈 버는 게임) 방식 합법화를 주장했었다. 이 때문에 민주당의 전체적인 대선 자금 운용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민주당이 의혹 제기 5일 만에 김 의원에게 코인 매각을 권유하고 자체 조사팀을 꾸려 진화에 나선 것도 이런 세간의 의혹을 의식한 때문으로 보인다.

한국게임학회는 “몇 년 전부터 P2E 업체들의 국회 로비 소문이 무성했다”며 여야 의원뿐 아니라 보좌진에 대한 전수조사를 촉구했다. 실제로 위믹스는 지난해 유통량 허위 공시로 주요 거래소에서 퇴출(거래 정지)됐는데, 업계에선 이를 둘러싸고 정치권 로비설이 끊이지 않았었다. 위믹스 유통 계획서에 따르면 지난해 10월까지 2억4500만 개가 유통돼야 하는데 실제론 7000만 개나 더 많은 3억1800만 개가 유통됐다. 당시 가격(개당 2500원)으로 무려 1750억원에 이른다. 이 물량 중 상당수가 정치권에 흘러 들어갔다는 합리적 의심이 지금 제기되고 있다. 핵심은 김 의원의 위믹스 투자 자금의 출처다. 신속한 수사도 필요하지만 자체 진상조사팀을 꾸린 만큼 민주당이 우선 투명하게 소명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