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사설

윤석열 정부 1년…수출·제조업 경쟁력 부활 근본 방책 세워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0면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9일 열린 국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9일 열린 국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복합위기 속에서 물가·위기 대응은 안정적

국민 10명 중 3명, ‘살림살이 나빠졌다’ 체감

수출 부진, 제조업 일자리 감소 극복이 핵심

윤석열 정부는 1년 전 복합위기 상황에서 출범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국제유가를 비롯한 원자재 가격이 폭등했고, 코로나19 때 풀린 돈으로 시중 유동성은 넘쳐나고 있었다. 미국을 비롯한 각국 중앙은행이 비상등을 켜고 물가 잡기에 뛰어들면서 급속한 금리 인상이 전개됐다. 한국 경제는 순식간에 고유가·고물가·고금리·고환율의 4고(高)에 직면했다. 1년이 지난 지금, 소비자물가는 5%대에서 3%대로 낮아졌다(2022년 5월 5.4%→ 2023년 4월 3.7%). 기업의 연쇄 부도나 외환 위기도 없었다.

한국 경제가 경착륙을 면했다는 점에서 윤석열 정부의 위기 대응은 긍정적 평가를 받을 만하다. 경제정책의 상당 부분은 지난 문재인 정부에서 누적된 ‘비정상’을 ‘정상’으로 바로잡는 데 맞춰졌다. 광기처럼 진행된 ‘탈원전’에 마침표를 찍고 원전을 정상 궤도로 되돌려 놓았다. 부동산 시장을 망친 징벌적 종부세·양도세·취득세를 낮추고 각종 규제를 풀었다. ‘건전재정’ 기치를 내걸고, 지난 정부에서 400조원이 늘 정도로 방만했던 재정 운용의 고삐를 잡기 시작한 것은 한국 경제를 올바른 방향으로 복귀시킨 것이었다.

그러나 국민 평가는 후하지 않다. 중앙일보 여론조사에서 응답자 10명 중 3명(35.2%)은 윤 대통령 취임 전과 비교해 ‘살림살이가 나빠졌다’고 답해 ‘좋아졌다’(8.6%)를 압도했다. ‘비슷하다’는 54.6%였다. 이는 국민이 체감하는 경기 불황이 유례를 찾기 힘들 정도로 심각하기 때문일 것이다. 게다가 한계 상황까지 차오른 가계부채는 국민 호주머니를 더욱 얇게 만들고 있다. 작년 말 가계부채는 1867조원. 빚을 갚지 못해 연체가 늘고 있고, 2금융권과 대부업체로 내몰리는 이들도 급증하고 있다.

이런 민생 악화의 바탕에 한국 제조업의 위기, 수출산업의 위기가 도사리고 있음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4월 고용 동향에서 제조업 취업자가 9만7000명 줄어 28개월 만에 최대 감소폭을 기록한 것이 그 방증이다. 정부는 전체 취업자 수 35만여 명 증가에 초점을 맞추지만, 정작 처우와 안정성이 상대적으로 나은 제조업 일자리는 줄어든 것이다. 게다가 한창 일할 청년층(15~29세) 취업자가 13만7000명 줄었고(6개월 연속 감소), 부양가족 책임에 어깨가 무거운 40대도 2만여 명 줄었다(10개월 연속 감소).

제조업과 수출 침체는 소규모 개방경제의 건전성 지표인 경상수지에도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3월에 2억7000만 달러 흑자를 내 1, 2월의 적자에서 벗어났지만 기업이 해외에서 받은 배당수입이 급증한 덕분일 뿐 상품수지는 지난해 11월 이후 6개월째 적자다. 수출이 7개월 연속 감소하고, 무역수지가 14개월째 마이너스 행진을 하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대중(對中) 수출 부진과 반도체 경기 침체가 주요인이라지만, 그 실상은 한국 제조업의 부진과 맞닿아 있다.

돌이켜 보면 제조업의 비교우위가 한국 수출의 힘이었고, 그 수출 역량이야말로 한국이 선진 경제권으로 도약할 수 있었던 비결이었다. 윤 대통령을 비롯해 경제팀이 다시금 비상한 위기의식을 갖고 제조업과 수출산업을 일으켜 세울 현실적 방책을 강구해 주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