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총선 1년 앞, 文때와 정반대…'尹 지원론' 37% '견제론' 49% [한국갤럽]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내년 4월 22대 총선을 1년도 안 남긴 상태에서 여당인 국민의힘에 힘을 실어줘야 한다는 ‘정부 지원론’이 더불어민주당 등 야당을 뽑아야 한다는 ‘정부 견제론’보다 뒤처지는 흐름이 계속되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이 4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의 앞마당에 조성된 용산 어린이정원 개방행사에서 축사하고 있다. 사진 대통령실 제공

윤석열 대통령이 4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의 앞마당에 조성된 용산 어린이정원 개방행사에서 축사하고 있다. 사진 대통령실 제공

5일 발표된 한국갤럽 조사(지난 2~4일)에서 내년 총선에서 ‘현 정부를 지원하기 위해 여당 후보가 많이 당선돼야 한다’(정부 지원론)는 응답은 37%, ‘현 정부를 견제하기 위해 야당 후보가 많이 당선돼야 한다’(정부 견제론)는 응답은 49%였다. 지난달 조사(4월 4~6일) 때도 지원론은 36%, 견제론은 50%였는데 엇비슷한 수치다.

이번 조사를 지역별로 보면 대구ㆍ경북(TK)만 지원론(52%)이 견제론(29%)을 앞섰고 나머지 지역에선 견제론이 높았다. 연령별로 보면 60대(지원론 52%, 견제론 37%)와 70대 이상(지원론 57%, 견제론 29%)을 뺀 모든 연령대에서 견제론이 지원론을 앞섰다. 여야 모두 공을 들이는 중도층에선 지원론이 31%, 견제론이 57%로 격차가 26% 포인트였다.

이런 결과는 문재인 정부 때 치러진 2020년 총선의 1년 전 모습과 정반대다. 한국갤럽이 2019년 4월 9~11일 실시한 조사에서 당시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을 뽑겠다는 지원론은 47%, 미래통합당(현 국민의힘) 등 야당을 뽑겠다는 견제론은 37%였다. 이 조사 이후 조국 사태라는 여권의 악재가 터졌음에도 이듬해 총선에선 민주당이 대승을 거뒀다.

정부 견제론과 연동되는 윤 대통령의 지지율도 역대 대통령과 비교하면 저조하다. 오는 10일 취임 1주년을 맞는 윤 대통령 지지도는 33%를 기록했다. 한국갤럽 조사에서 노태우 정부 이래 역대 대통령의 취임 1주년 무렵 지지율은 노태우 45%, 김영삼 55%, 김대중 60%, 노무현 25%, 이명박 34%, 박근혜 57%, 문재인 78%였다. 윤 대통령이 노무현 전 대통령에 이어 뒤에서 두 번째다.

국민의힘은 총선 1년 전 이런 여론 흐름을 우려하고 있다. 더욱이 민주당은 이재명 대표의 사법 리스크가 현실화한 데다 ‘돈 봉투 사건’이라는 악재까지 겹쳤음에도 현 정부 견제 심리가 더 높은 상황이다. 국민의힘 다선 의원은 “1년 전 형성된 정부 심판론을 뒤집는 건 쉬운 일이 아니다”라며 “우리 당이 상당한 위기의식을 갖고 유권자의 마음을 되돌려야 한다”고 말했다.

여권으로선 지원론과 견제론이라는 거대한 구도를 흔들기 위해선 대통령과 정당 지지도부터 변화의 흐름을 만들어야 한다는 절박감이 크다. 기댈 점 중 하나는 높은 견제론에도 국민이 생각하는 확실한 대안 세력이 아직 없다는 점이다. 이번 한국갤럽 조사에서 정부 견제론은 49%나 됐지만 민주당 지지율은 전주 대비 5%포인트 떨어진 32%에 그쳤다. 국민의힘은 3%포인트 오른 35%였다. 오차범위 내지만 국민의힘이 민주당을 7주 만에 앞섰다.

대통령 지지율도 조금씩 상승 추이다. 국정 지지도는 4월 2주차 조사(11∼13일) 때 27%로 떨어졌다가 3주차 조사(18∼20일) 때 31%로 반등에 성공, 4주차 조사(25~27일)에서 30%를 기록한 뒤 이번 조사까지 3주 연속 30%대를 유지했다. 지난달 윤 대통령의 미국 국빈 방문과 한·미 정상회담이 영향을 끼쳤다는 평가다. 국정 평가 이유 1위로는 외교(35%)가 꼽혔는데, 부정 평가 1위도 외교(32%)였다. 미국 국빈 방문이 ‘국익에 도움이 됐다’는 긍정 평가와 ‘도움 되지 않았다’는 부정 평가도 42%로 같았다.
 (상기된 여론조사의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그래픽=김주원 기자 zoom@joongang.co.kr

그래픽=김주원 기자 zoo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