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면세업계, 코로나 이전 회복은 아직…"재고품 판매 연장 등 추가 지원"

중앙일보

입력

지난 3월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 면세점 앞을 사람들이 지나가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3월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 면세점 앞을 사람들이 지나가고 있다. 연합뉴스

관광객 감소로 긴 겨울을 보낸 면세업계가 올해 들어 기지개를 켜기 시작했지만, 매출은 아직 코로나19 유행 이전의 절반 수준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면세 산업 활성화를 위해 재고품 내수 판매 연장, 송객 수수료 정상화 등의 추가 대책을 내놨다.

관세청은 4일 서울에서 면세업체 대표들과 간담회를 열고 면세 산업 활성화와 글로벌 경쟁력 강화 방안 등을 논의했다. 올해 들어 내·외국인 출입국 증가 등으로 면세 산업은 완만한 회복 국면에 들어섰다. 하지만 코로나19 직전인 2019년 수준을 회복하지 못해 정부는 업계 목소리를 듣는 자리를 마련했다. 5월 내내 외국인 관광객의 소비 촉진을 위한 ‘코리아 듀티프리 페스타’가 진행되는 것도 감안했다.

관세청에 따르면 올 1분기(1~3월) 국내 면세점을 찾은 외국인 고객은 약 77만명으로 지난해 1분기(15만명) 대비 410% 증가했다. 하지만 2019년 1분기(440만명)와 비교하면 17% 수준에 그쳤다. 이에 따라 1분기 면세 산업 매출도 3조1000억원으로 2019년 1분기(5조6000억원)의 절반을 조금 넘겼다(55%). 주요 5개 회사(호텔롯데·호텔신라·신세계·현대백화점·HDC신라)의 1분기 영업이익은 456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 적자(-864억원)에서 흑자로 전환했지만, 4년 전 흑자 규모(1808억원)과 비교하면 25% 수준이다.

정부는 수년째 이어진 코로나 팬데믹(대유행)으로 가라앉은 면세 산업의 활성화 차원에서 여러 대책을 도입해왔다. 특허 수수료 감면과 분할납부·납기연장, 무착륙 관광 시 면세점 구매 허용 등이 대표적이다. 면세 주류의 온라인 구매 허용, 휴대품 모바일 신고 도입 등도 상반기 시행을 목표로 진행 중이다. 그러나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업체들은 면세 산업이 아직 완전히 회복되지 않은 만큼 정부 지원이 꾸준하게 이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난달 26일 인천국제공항 면세점 앞에 많은 출국자들이 있는 모습. 뉴스1

지난달 26일 인천국제공항 면세점 앞에 많은 출국자들이 있는 모습. 뉴스1

이에 따라 관세청은 추가적인 면세 산업 활성화 방안을 내놨다. 우선 정식 수입 통관을 거친 면세점 재고품의 내수용 판매 허용 제도를 6개월 연장하기로 했다. 당초 이 제도는 오는 6월까지만 하기로 했지만, 효율적 재고 관리 등 면세업계의 경영 안정을 돕는 차원에서 12월까지 기간을 늘린다.

지난해 6월부터 한시적으로 시행 중인 외국인 대상 국산 면세품의 온라인 해외 판매는 상설화된다. 관광객이 급감한 면세업체들이 새로운 매출처를 확보하도록 지원하는 취지다. 관련 매출 실적은 올 3월까지 누적으로 35만 달러다. 이종욱 관세청 통관국장은 "국산 면세품의 온라인 해외 판매를 풀어주면서 중소·중견기업 생산 면세품의 해외 판로 개척 등의 효과를 거둘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또한 관세청은 과도한 송객 수수료를 정상화하는 조치도 적극 추진한다. 송객 수수료는 여행사가 방문 고객 등을 모은 대가로 면세점이 지급하는 수수료인데, 코로나19 이후 고객 유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크게 상승했다. 관세청은 올 상반기 중에 업계 의견을 반영해 과도한 송객 수수료 근절을 위한 종합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업계 간 과도한 출혈 경쟁과 국부 유출을 방지하고, 면세 거래를 투명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관세청은 전망한다.

윤태식 관세청장은 “앞으로 면세업계가 환경 변화에 대응해 품목·시장 다변화, 해외 진출 확대, 온라인 판매 플랫폼 강화 등 새로운 경영 전략을 마련하는 게 중요하다. 정부도 이를 적극 뒷받침할 것”이라고 밝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