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금융권 연체율 비상, 넉달 뒤가 더 걱정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1면

은행과 카드사 등 금융회사의 연체율이 일제히 상승하고 있다. 고금리가 이어지며 이자 부담이 늘어난 가계와 기업의 상환 여력이 떨어진 탓으로 풀이된다. 당장 우려할 수준은 아니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금융 지원으로 가려진 부실이 수면 위로 떠오르면 연체율이 급격히 오를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1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내 4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의 올 1분기 연체율은 지난해 말과 비교해 모두 상승했다. 신한은행과 우리은행의 연체율은 각각 지난해 4분기 0.22%에서 올해 1분기 0.28%로 0.06%포인트 올랐다. 올 1분기 하나은행의 연체율은 지난해 4분기 0.2%에서 0.03%포인트 오른 0.23%를 기록했다. 지난해 말 4대 은행 중 유일하게 0.1%대(0.16%)를 나타냈던 KB국민은행의 연체율은 올해 들어 0.2%로 올라섰다.

그래픽=김현서 kim.hyeonseo12@joongang.co.kr

그래픽=김현서 kim.hyeonseo12@joongang.co.kr

4대 금융지주 계열 카드사 연체율도 일제히 올랐다. KB국민카드의 연체율은 지난해 4분기 0.92%에서 올 1분기 1.19%로, 하나카드는 같은 기간 0.98%에서 1.14%로 오르며 1%를 넘어섰다. 신한카드(1.04%→1.37%), 우리카드(1.21→1.35%)의 연체율도 3개월 새 상승했다. 79개 저축은행 전체 연체율도 지난해 4분기 3.4%에서 올 1분기 5.1%로 오르는 등 금융권 전 업종의 연체율이 동반 오름세다.

은행 등 금융권의 연체율은 2019년부터 2021년까지 하향 추세였다. 4대 시중은행의 경우 2019년 연체율은 0.19~0.3%였는데, 2021년에는 0.12~0.2%로 내려갔다. 코로나19로 직격탄을 맞은 취약 계층에 대한 금융 지원 영향이 컸다. 하지만 한국은행이 지난해 고물가에 대응해 연이어 금리 인상을 단행하며 대출 이자 부담이 많이 늘었다. 서민과 소상공인 등의 상환 여력이 떨어지며 연체율이 올라간 것으로 풀이된다.

여기에 비(非)은행 금융회사의 기업대출 연체율도 다락같이 오르고 있다. 한국은행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양경숙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말 현재 국내 금융권의 기업대출 잔액은 총 1874조원(은행 1221조6000억원+비은행 652조4000억원)에 이른다. 코로나19 사태 직전인 2019년 4분기보다 48.3% 늘어났다. 역대 최대다.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특히 저축은행·보험사 등 2금융권으로 불리는 비은행 금융회사의 기업 대출은 같은 기간 357조2000억원에서 652조4000억원으로 82.6%나 불었다. 같은 기간 은행권의 증가율(34.8%)의 배를 넘는다. 비은행권의 기업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은 지난해 4분기 기준 2.24%로 집계됐다. 직전 분기인 지난해 3분기(1.81%)보다 0.43%포인트 뛰었다. 2016년 1분기(2.44%) 이후 6년 9개월 만에 가장 높다.

고금리에 경기 부진이 이어지고 있어 앞으로 연체율은 상승할 가능성이 크다. 게다가 코로나19 관련 대출에 대한 유예 조치가 종료되는 오는 9월 이후 연체율이 치솟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여기에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부실 우려, 전세 사기 주택 경매 유예 조치 등도 향후 금융사의 연체율을 끌어올릴 수 있는 악재로 꼽힌다.

김도하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아직 연체율은 코로나19 이전에 비해 높지 않지만 증가 속도가 가파른 점은 문제”라며 “향후 금융회사의 건전성 지표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박종무 하나금융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지난 27일 컨퍼런스콜에서 “금융 시장 불안이 커지고, 자회사 연체율 상승 등 잠재 리스크도 확대됐다”며 “올해 가장 중점적으로 보는 것은 리스크 부문”이라고 말했다.

김정식 연세대 경제학부 명예교수는 “장기화한 고금리에 경기 부진이 겹쳐 기업과 가계 대출이 부실화할 수 있다”며 “금융권 전반의 위기로 번지지 않도록 선제적으로 관리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