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페니아 코리아나의 다양한 형태. 환경부=연합뉴스
전 세계에 1종만 보고된 식물플랑크톤 분류군인 기페니아(Giffenia)속 신종이 한국에서 발견됐다.
27일 환경부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2018년 6월 순천만 습지에서 채취한 퇴적토를 분석한 결과 돌말류 기페니아속 생물종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돌말류는 바다와 강 등 물에서 부유하거나 습한 토양과 돌 등에 붙어 사는 식물플랑크톤의 일종으로 광합성을 하는 생태계 주요 일차 생산자다.
기페니아속 신종에는 한국에서 발견된 점을 강조한 ‘기페니아 코리아나’라는 이름이 붙었다.
순천만 습지 퇴적토의 표층부터 최하 6m 아래 지점까지 연속적으로 발견된 기페니아 코리아나는 기존에 보고된 기페니아속 유일종인 ‘기페니아 코코네이포미스’보다 길이가 22.5㎛, 폭이 13.5㎛ 크고, 등줄이 약 45도로 휜다는 특징이 있다.
탄소연대 측정 결과 1400년 전 삼국시대부터 현재까지 순천만 습지에서 생존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는 이 돌말류 신종을 6월 국제 학계에 보고하고,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생물들을 기록하는 국가생물종목록에 추가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