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청년층 '코로나 빚폭탄' 터진다…"급증한 주택 대출, 장기분할상환 기회 줘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최근 금리가 가파르게 상승하면서 코로나 팬데믹(대유행) 기간에 대출을 크게 늘렸던 2030세대 청년층에 부채상환 부담이 부메랑처럼 돌아오고 있다. 또 2021년 이후 금리 인상기 중 20대의 연간 소비가 90만원 가까이 감소한 것으로 추산됐다.

26일 한국개발연구원(KDI) 김미루 연구위원이 작성한 ‘금리인상에 따른 청년층 부채상환 부담 증가와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저금리 기조가 유지됐던 2020~2021년에 청년층(20~39세) 부채가 빠르게 증가했다. 특히 중장년층에 비해 전월세 보증금 등 주거 관련 대출이 주를 이뤘다. 실제로 청년층 총대출 중 주거 관련 대출 비중은 약 82.4~85.0%로, 중장년층(63.6~73.1%)보다 11~18%포인트 가량 높았다. 전월세 보증금 마련을 위한 대출 비중도 지난해 말 기준으로 청년층(30.0%)이 중장년층(5.6%)보다 24.4%포인트나 높았다.

금리 인상은 청년층 소비 감소에도 영향을 미쳤다. 보고서에 따르면 기준금리가 1%포인트 인상되면 대출보유 차주의 연간 소비는 약 13만2000원(0.5%) 감소했다. 이 중에서도 20대의 소비 감소폭(29만9000원·1.3%)은 60대 이상(3만6000원·0.2%)의 8.4배에 달했다. 김 연구위원은 “금리인상에 따른 청년층의 원리금 상환부담 증가가 고령층에 비해 크고, 자산 처분이나 추가 차입을 통해 소비 수준을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청년층은 중장년층에 비해 소득이 작아 자산 형성이 부족한 데다 금리 인상 충격 때 자산 처분이나 추가 차입을 통한 대응이 어렵기 때문에 소비를 줄이는 방식으로 대응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2021년 이후 기준금리가 총 3%포인트(0.5→3.5%) 인상됐음을 감안하면 20대의 소비 감소 폭은 연간 89만6000원(3.96%)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같은 기간 30대도 소비를 61만3000원(2.4%) 줄였다.

청년층 내에서도 부채 수준에 따라 소비 감소 폭이 크게 엇갈렸다. 기준금리 1%포인트 인상 시 부채보유 상위 50% 청년층 연간 소비는 26만4000원(1.1%) 감소한 반면, 부채를 보유하지 않은 청년층은 2만4000원(0.1%)에 불과했다. 아울러 부채가 많은 청년층 중에서도 소득수준이 낮거나 신용점수가 낮은 취약차주의 소비가 상대적으로 더욱 크게 감소했다.

보고서는 청년층 차주가 합리적인 수준에서 부채를 보유할 수 있도록 정책적인 노력이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제언했다. 또한 한계상황에 직면한 청년 차주에게 기존 채무를 장기 분할상환 대출로 전환할 기회를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청년층은 아직 일할 수 있는 기간이 많이 남은 만큼 장기간에 걸쳐 채무를 상환할 수 있게 하면 채무구조 악화를 막을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김 연구위원은 “생애주기 관점에서 청년층은 향후 소득이 점차 증가할 가능성이 높은 만큼 현재 소득뿐만 아니라 미래 소득도 총부채상환비율(DSR) 등 대출 규제에 반영될 필요가 있다”며 “(반대로) 저축을 통한 자산 형성을 지원하는 정책은 수혜층이 제한되고 효과성이 높지 않을 수 있음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