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사설

‘세월호 참사’ 9년, 여전히 다리 무너지고 열차는 안전 위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0면

지난 14일 서울 강서구 김포공항역 김포도시철도(김포골드라인) 승강장에 열차 미운행을 알리는 문구가 게시돼 있다. [뉴스1]

지난 14일 서울 강서구 김포공항역 김포도시철도(김포골드라인) 승강장에 열차 미운행을 알리는 문구가 게시돼 있다. [뉴스1]

사고 위험 징후 잇따라도 안전불감증은 여전

김포골드라인 승객 수송에 설익은 대책 봇물

세월호 참사 9주기를 추모하는 기억식이 어제 단원고 학생들이 영면한 경기도 안산 화랑유원지에서 열렸다. 국민의힘 김기현 대표와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 정의당 이정미 대표 등이 참석해 희생자를 추모했다. 수학여행 떠난 고교생들을 눈앞에 보면서도 구해 내지 못한 그날의 비극은 온 국민의 가슴에 트라우마로 남았다. 과적과 평형수 부족을 비롯한 온갖 위험을 알면서도 못 본 체했던 안전불감증을 반성했고 ‘관피아’(관료+마피아)를 척결하겠다는 대통령 약속이 나왔다. 그러나 우리 사회는 과연 그 지점에서 한 발짝도 나아가지 못했다는 사실이 곳곳에서 드러나고 있다. 159명의 목숨을 앗아간 지난해 10월 이태원 참사가 대표적이다. 젊은이들이 압사당하기 몇 시간 전부터 경찰 112상황실에 신고 전화가 이어졌지만 “지금 위치에서 대기하라”던 세월호 선원들처럼 어처구니없는 대응으로 일관했다. 경찰 수뇌부와 관련 부처 장관 어느 한 사람도 참변의 책임을 지지 않았다. 결국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에 대한 탄핵소추안이 가결되는 사태로 이어졌다.

2019년 9월 개통 때부터 과밀 우려가 나왔던 김포골드라인은 몇 차례 사고가 터지고 나서야 허둥지둥 수습책을 쏟아낸다. 출퇴근 시간 혼잡도가 200%를 넘는 한계 상황임에도 내년 9월에야 열차를 추가 투입한다는 안이한 대응으로 일관했다. 이태원 참사 직후인 지난해 12월 한 승객이 호흡곤란 증세를 보이면서 경고음이 울렸으나 열차는 사고 위험을 실은 채 계속 달렸다. 급기야 지난 11일 오전 출근시간에 10대와 30대 여성 승객이 호흡 이상으로 쓰러졌다. 오래전부터 예고된 사고가 터지고 나서야 국토교통부 장관과 서울시장이 긴급회의를 열었다. 버스 증차를 하고 승객을 통제하는 ‘커팅맨’을 배치하는 등 연일 대책이 쏟아진다. 3년 넘게 위험을 방치하다가 문제가 터지자 봇물 터지듯 쏟아내는 대비책이다. 얼마나 깊은 고민이 담겼을지 의문이다. ‘수륙양용버스’를 검토한다는데 과거 서울시에서 도입하려다 무산된 적이 있고 군에서 수륙양용장갑차가 침수돼 인명피해가 나기도 했다. 승객을 태우고 강물과 도로를 넘나드는 수륙양용버스를 믿고 이용할 만큼 신뢰가 쌓였겠는가. 민주당 소속인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후보 시절 김포골드라인 차량기지를 직접 방문하기도 했으나 이번 사태와 관련해 아직 신통한 대책을 내놓지는 못하고 있다.

지난 5일 붕괴한 경기도 성남의 ‘정자교’는 여전히 국민의 안전이 살얼음판 위에 놓여 있음을 상징했다. 안전을 위협하는 사고 대비만큼은 여야 구분 없이 머리를 맞대야 한다. 그것만이 사고 징후를 외면하고 무대책으로 일관하다가 9년 전 진도 앞바다에서 구해 내지 못한 304명에게 속죄하는 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