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집값 하락세? 서울 중위소득 구매 가능 아파트는 100채 중 3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뉴스1

뉴스1

지난해 부동산 가격이 하락세로 전환했지만 여전히 서울에서 중위소득 가구가 구매할 수 있는 아파트는 100채 중 3채 꼴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의 중간소득 가구가 대출을 껴서 집을 살 경우 소득의 절반가량을 주택담보대출 원리금 상환에 써야 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3일 주택금융공사(HF)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의 주택구입물량지수는 47.0으로 집계됐다. 1년 전(44.6)보다는 2.4포인트 올랐지만 여전히 50을 밑돌았다.

주택구입물량지수는 주택구입 능력을 측정하는 지수로 중위소득 가구가 구입 가능한 주택수의 비율을 0~100 기준으로 보여준다.

수치가 높을수록 중위소득 가구가 구입할 수 있는 주택물량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100일 경우 중위소득 가구가 100% 주택을 구입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중위소득은 전체 소득을 전체 가구 수로 나누어 얻는 평균 소득과 달리 전체 가구의 소득 순위 중간에 해당하는 소득층을 말하는데 지난해 중위소득은 4인 가구 기준 512만1000원이었다.

지역별로는 서울의 주택구입물량지수가 3.0으로 가장 낮았다. 중위소득 가구가 서울에서 살 수 있는 집은 3%밖에 되지 않는다는 의미다.

2012년 32.5을 기록했던 서울의 주택구입물량지수는 2016년 20.2까지 떨어졌다가 2017년 16.5로 20 아래로 내려간 뒤 2018년 12.8, 2019년 13.6에 이어 2020년 6.2, 2021년 2.7까지 떨어졌다.

서울에 이어 경기가 33.5로 두 번째로 낮았고 인천(39.7), 부산(44.6), 제주(47.4) 등도 주택구입물량지수가 50을 넘기지 못했다.

이어 세종(50.4), 대전(52.2), 대구(56.6), 광주(63.1), 울산 (64.9), 충북(75.5), 경남(75.9), 전북(77.1), 강원(78.2), 충남(78.8), 전남(84.2), 경북(85.7) 등 순이었다.

집값이 떨어진 데다 주택담보대출 금리도 정점을 찍고 하락하면서 주택구입부담지수도 내림세를 보였다.

지난해 4분기 전국 주택구입부담지수는 81.4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던 전 분기(89.3) 대비 7.9포인트 떨어졌다.

주택구입부담지수는 중간소득 가구가 표준대출을 받아 중간가격의 주택을 구입하는 경우 상환부담을 나타내는 지수다. 지수가 낮을수록 주택구입부담이 완화되고 높을수록 가중됨을 의미한다.

전국 주택구입부담지수는 집값 폭등기였던 2020년 2분기(52.1)부터 지난해 3분기(89.3)까지 10분기 연속 상승했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의 경우 198.6으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던 3분기(214.6)보다는 16포인트 하락했지만 여전히 200선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서울의 중간소득 가구가 서울지역에서 중간가격의 주택을 구입할 경우 소득의 약 50%를 주택담보대출 원리금을 갚는 데 써야 한다는 의미다.

서울에 이어 세종(109.5)과 경기(107.5)가 100을 넘었고 제주(90.7), 인천(88.5), 부산(83.2), 대전(78.5), 대구(73.7), 광주(64.1) 등 순으로 나타났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