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 후기 지리학자 김정호(1804 추정~1866 추정)가 만든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에 각종 지리 정보를 더한 새로운 지도가 국내로 돌아왔다. 사진은 환수한 '대동여지도' 모습. 연합뉴스
조선 후기 지리학자 김정호(1804 추정~1866 추정)가 만든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에 각종 지리 정보를 더한 새로운 지도가 국내로 돌아왔다. 30일 오전 10시 30분부터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처음 선보인다.
문화재청과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은 이날 목록 1첩(帖·묶어 놓은 책), 지도 22첩 등 총 23첩으로 구성된 대동여지도를 일본에서 환수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환수된 대동여지도는 가로 20㎝, 세로 30㎝ 크기의 책자가 여러 개 있는 형태다. 우리나라 전체를 동서, 남북으로 각각 나눠 표현한 첩을 모두 펼치면 가로 4m, 세로 6.7m 크기의 대형 지도가 된다. 마치 병풍처럼 접었다 폈다 할 수 있게끔 한 전국 지도다.

문화재청과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이 목록 1첩(帖·묶어 놓은 책), 지도 22첩 등 총 23첩으로 구성된 '대동여지도'를 일본에서 환수했다고 30일 밝혔다. 사진은 전체를 펼친 모습. 연합뉴스
내용면에선 1864년 제작된 목판본에 가필, 색찰하고 국내에서 최초 확인된 ‘동여도’의 지리정보를 필사해 추가했다. 여기서 동여도는 김정호가 대동여지도의 저본(底本)으로 삼았던 것으로 볼 수 있는 조선전도다. 조선시대의 교통로·군사시설 등 지리 정보와 약 1만8000여 개에 달하는 지명이 실려 있다.
환수된 지도는 특히 내용면에서 세부 지명·지도 관련 정보 등을 담지 못했던 대동여지도의 한계를 보완했단 점에서 의미가 있다. 예를 들어 백두산 일대를 묘사한 제2첩에는 1712년 조선과 청나라 사이 국경선을 표시하기 위해 세운 백두산정계비(白頭山定界碑)와 군사시설 간의 거리가 적혀 있다. 일반적인 대동여지도 판본에는 없는 내용이다.

'대동여지도' 목록. 연합뉴스
문화재청 관계자는 “동여도 내용을 필사해 목판본인 대동여지도의 한계를 보완한 최초 사례로 확인된다”며 “대동여지도가 보급되면서 변용된 형태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문화재청은 1864년 발간된 ‘갑자본’ 대동여지도와 동여도가 희소한 만큼 이번에 환수한 지도의 문화·학술적 가치가 클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지도를 지금까지 누가 어떤 목적으로 소장해왔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재단 관계자는 “자문 결과 당시 관아에서 일하는 사람, 무역하고 싶어 하는 상인 등이 썼으리라 추정된다는 의견이 있었다. 대동여지도에 동여도 정보까지 더해진 만큼 아무에게나 주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재단은 지난해 7월 일본의 한 고서점이 유물을 소장하고 있다는 정보를 입수한 뒤 자료 검토, 전문가 평가 등을 거쳐 복권기금으로 구매했다.
문화재청은 “조선시대 지리 정보 연구의 범위를 확장할 계기가 될 것”이라며 “조선의 과학 문화유산에 대한 관심과 자긍심을 고취할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