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문광 스님의 글빛 다실

매화의 향기소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1면

문광 스님·동국대 불교학술원 HK연구교수

문광 스님·동국대 불교학술원 HK연구교수

매화가 피었다. ‘매화는 일생토록 춥더라도 향기를 팔지 않는다(梅一生寒不賣香)’는 조선 중기 문인 신흠(1566∼1628)의 시구처럼 조선의 선비들은 특히 매화를 사랑했다. 퇴계는 세상과 작별하는 마지막 말로 “저 매화에 물을 주어라”를 선택했다. 남기고 싶었을 모든 말을 매화에 대한 사랑으로 일축했다.

중국 북송의 시인이자 역학자인 소강절(邵康節·1011~1077) 이래로 매화는 단순한 감상 차원을 넘어 역학(易學)의 꽃으로 격상되었다. 소강절이 매화나무에서 싸우는 참새 두 마리를 보고 앞일을 예언한 일화가 그 유래다. 참새들의 싸움으로 나뭇가지가 떨어지자 그는 한 여인이 정원지기 몰래 꽃을 꺾다 땅에 떨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사물을 관찰해(觀物) 세상의 숨은 이치와 기미를 파악했던 것이다. 이는 매화역수(梅花易數)라는 수리역학(생년월일 등 숫자를 통해 운세를 파악하는 역학의 한 갈래)으로 발전하는 계기가 됐다. 매화는 역(易)의 관점에서 보자면 음기 가득한 한겨울에 첫 번째 봄기운(一陽)이 피어나는 복괘(復卦)를 상징한다. 선비의 지조와 절개를 상징하기에 제격이다.

글빛 다실

글빛 다실

이러한 관념적인 상식에서 탈피하여 온몸으로 매화를 만난 것은 10년 전 성남시 분당의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였다. 캠퍼스를 바삐 걷던 쌀쌀한 어느 날, 어디선가 향긋한 꽃내음이 나를 불러세웠다. 둘러보았더니 자그마한 백매화가 담박하게 몇 송이 꽃을 피워놓고 있었다. 선승들이 ‘향성(香聲)’이란 말을 썼던 이유를 그제야 알았다. 향기가 나에게 말을 걸어왔으니 ‘향기소리’라고 할 법도 하다.

이후 매년 봄이면 오로지 그 매화 한 그루를 보기 위해 연구원을 찾곤 했다. 올해도 찾아갔으나 아쉽게도 만나지 못했다. 그 자리에 새로 기숙사 건물을 짓는단다. 언젠가 송곳 꽂을 땅 한 뙈기 생긴다면 소담한 백매화 한 그루 심고 싶다. 나를 불러세웠던 바로 그 꽃. 인연이었던가 보다.

문광 스님 동국대 불교학술원 HK연구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