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연극무대 위 웃고 노래하고…유가족다움? 색안경 벗어주세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8면

영화 ‘장기자랑’의 이소현 감독(왼쪽부터)과 다큐의 주인공인 일곱 엄마들 중 수인·순범·동수 엄마를 28일 중앙일보에서 만났다.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영화 ‘장기자랑’의 이소현 감독(왼쪽부터)과 다큐의 주인공인 일곱 엄마들 중 수인·순범·동수 엄마를 28일 중앙일보에서 만났다.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내가 쟤보다 잘하는데, 왜 맨날 주인공 안 시켜주고 이런 역할만 주지?” 스포트라이트 받는 배역을 탐하는 건 배우의 자연스러운 욕망이다. 그런데 그 배우가 아이 잃은 엄마인 경우는 좀처럼 목격하지 못한다. ‘참사 피해자’ ‘희생자 유가족’ 같은 수식어가 붙으면 그들을 ‘피해자다움’이라는 색안경을 통해 보는 탓이다.

2014년 4월 16일 세월호 참사로 아이를 잃은 엄마들의 좌충우돌 연극 도전기를 그린 다큐멘터리 영화 ‘장기자랑’(4월 5일 개봉)은 ‘유가족은 늘 슬프고, 식음을 전폐하고, 투쟁적일 것’이라는 편견을 비껴간다. 대신 무대 위에서 웃고, 노래하고, 때론 배역 욕심도 부리는 엄마들 모습을 진솔하게 담아냈다.

“영화에 나오는, 있는 그대로의 저희를 봐줬으면 좋겠어요. ‘피해자다움’이 아닌, 그냥 같이 사는 이웃으로요.”(동수 엄마 김도현씨) 어느덧 7년 차 연극배우인 4·16 가족극단 ‘노란리본’ 엄마들은 영화 개봉을 앞두고 이런 바람을 전했다. 다큐 주인공인 일곱 엄마 중 수인 엄마(김명임), 동수 엄마, 순범 엄마(최지영), 그리고 이소현 감독을 28일 서울 상암동 중앙일보에서 만났다.

다큐멘터리 영화 '장기자랑' 스틸컷. [사진 영화사 진진]

다큐멘터리 영화 '장기자랑' 스틸컷. [사진 영화사 진진]

다큐는 엄마들이 얼떨결에 연극에 입문한 사연부터, 이들의 첫 창작극 ‘장기자랑’ 준비 과정, 2021년 단원고 공연까지 여정을 3년에 걸친 촬영을 통해 따라간다. 이 감독이 이들을 이토록 오래 촬영하게 된 건 2019년 일본 NHK가 제작한 세월호 다큐의 스태프로 일했던 경험 덕분이다. 그때 만난 애진 엄마(김순덕)를 통해 극단 활동을 알게 된 이 감독은 연극 홍보 영상을 찍던 첫날 뜻밖의 장면을 마주했다. 캐스팅 결과에 뿔난 엄마들 사이 다툼이었다. 이게 다큐 제작의 결정적 계기가 됐다.

“NHK 다큐 촬영 땐 유족들이 ‘찍기 싫다’는 말을 자주 했어요. ‘아이 마지막 영상을 봐 달라’고 요구하는 등, 저 같아도 싫을 일을 (제작진이) 시키더라고요. 그런데 막상 어머니들을 따로 만나니 2~3시간 여러 이야기를 쏟아내시더라고요. 기존 미디어가 담아내는 울거나 분노하는 유족 모습만이 아니라, 이런 인간적 이야기도 전할 필요가 있지 않나 싶었어요.”(이 감독)

다큐는 연기를 잘하고 싶은 마음에 밤늦게까지 홀로 연습하고, 배역을 두고 감정이 상해 연습실을 떠나기도 하는 엄마들 모습을 있는 그대로 담아냈다. 세월호를 다뤘던 여느 영화들과 사뭇 다른 유쾌함을 선사한다. 무심코 뱉은 “연극도 재밌겠네”라는 말 한마디에 연극 선생님이 달려오고, 선생님의 열정 때문에 배우 생활을 이어가는 엄마들의 난처한 모습이 미소를 자아낸다.

연극 활동 자체가 떠난 아이들을 기억하기 위한 일이었던 만큼, 다큐는 상흔에 아파하는 엄마들 모습을 비추는 것을 잊지 않는다. 뮤지컬 배우를 꿈꿨던 예진, 모델이 되고 싶었던 순범 등 아이를 닮은 연극 캐릭터를 연기하는 엄마들 모습은 눈시울을 뜨겁게 한다.

엄마들은 벌써 극단의 다섯 번째 작품 ‘연속, 극’ 공연을 앞두고 있다. 엄마 자리를 지키며 무대에까지 서는 건 쉬운 일이 아니다. 대본 펼 시간이 없어 팽목항과 안산을 오가는 차 안에서 대사를 외우고, 여전히 청심환 등 약에 의존해 무대에 오른다. 그래도 무대를 떠나지 않는 건 연극이 떠난 아이를 기억하기 위한 방법이라서다. “18년 살다 간 아이 이야기를 내가 안 하면 그냥 없던 아이가 돼버릴 것 같아서요. 분량에 욕심냈던 이유도 아이가 조금이라도 더 불리길 바랐기 때문이에요.”(동수 엄마)

아이들을 위해 오른 무대지만, 연극은 이들에게 계속 살아갈 힘을 줬다. 수인 엄마는 “연극을 하면서 다른 이의 삶을 대신 살아보고, 내 목소리로는 할 수 없던 말도 뱉어보면서 몰랐던 세상을 많이 알게 됐다”고 말했다. 순범 엄마는 “이번 연극에는 이태원 참사 등 비슷한 아픔을 가진 모든 이가 공감할 이야기가 들어 있어 더 열심히 한다”고 말했다.

영화는 떠난 이에 대한 추모와 남은 이의 삶이 어떻게 공존할 수 있는지 곱씹으며, 양쪽 모두를 향한 따뜻한 시선을 전한다. 이 감독은 “사회적 참사를 다룬 다큐는 보는 게 너무 힘들어 피하게도 되지만, 그럴수록 점점 관심에서 멀어지는 것 같아 안타깝다”며 “영화가 참사 이후 가족들이 어떻게 살고 있는지 진솔하게 보여주고, 안부를 전할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