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운대학교
예비창업기업 단계별 맞춤 지원
지역사회 연계활동도 적극 펼쳐
학사구조 개편, 신설 학과 개설
반도체 분야 특성화 인재 육성
![광운대는 교육부의 대학혁신지원사업, BK21사업, 디지털혁신공유대학사업, 고교교육기여대학지원사업, 중기부의 예비창업패키지 사업 등을 통해 교육, 연구 및 산학협력 분야에서 다양한 혁신을 추진하며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사진 광운대]](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303/29/d5e59b54-768a-463b-bd65-9fb72e89e9e9.jpg)
광운대는 교육부의 대학혁신지원사업, BK21사업, 디지털혁신공유대학사업, 고교교육기여대학지원사업, 중기부의 예비창업패키지 사업 등을 통해 교육, 연구 및 산학협력 분야에서 다양한 혁신을 추진하며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사진 광운대]
광운대학교는 올해 김종헌 총장 취임 1주년을 맞아 초융합 사회로 나아가는 교육과 연구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에 발맞춰 교육부의 대학혁신지원사업, BK21사업, 디지털혁신공유대학사업, 고교교육기여대학지원사업, 중기부의 예비창업패키지 사업 등을 통해 교육, 연구 및 산학협력 분야에서 다양한 혁신을 추진하고 있으며, 지능화 기반의 초융합 시대를 이끌어가기 위해 다방면에서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K-산학협력 발전계획 2030’ 선포
광운대는 4차 산업혁명 및 뉴노멀 환경에 대비해 산학협력 중장기 발전계획인 ‘K-산학협력 발전계획 2030’을 선포하고, 새로운 성장동력 창출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 및 실행사업들을 추진한다. 스타트업의 성공과 더불어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창업인프라를 활용해 민·관·학이 협력하는 예비창업기업의 성장을 위해 단계별 맞춤 지원도 하고 있다.
또 중소벤처기업부와 창업진흥원이 지원하는 ‘2023년 예비창업패키지 사업’ 신규 주관기관에 선정돼 예비창업자의 성공 창업 및 사업화 지원을 통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준비하고 있다. 이를 위해 예비창업자에게 사업화 자금, 창업교육, 멘토링, 판로 연계, 글로벌 진출 등 창업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30여개 민·관·학 협력기관이 참여하는 ‘No.1 Collective Impact’를 비전으로 설정해 민간 투자기관, 지자체, 대학이 협업해 함께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광운대는 지역사회와의 연계활동과 창업에서 우수한 성과를 보인다. 개방·공유·협력을 기반으로 지역사회와의 동반 성장 목표를 설정하고 동북 4구, 구리시, 오산시 등 여러 지역 내 10개가 넘는 거점 센터들을 지자체로부터 위탁받아 운영하면서 지역 산업연계 R&BD 매칭, 청년 취·창업 문제 해결, 청소년 심리상담, 가족문제 해결, 교육 격차 해소 등 지역경제 활성화와 여러 문제를 함께 해결하며 성장하고 있다.
또 학생의 창업 유도 및 창업교육의 질적 고도화를 위해 다양한 사업을 통한 재정지원과 창업 로드맵(YEP, Young Entrepreneurs Program) 브랜딩, 스타트업 연계전공 등 교과·비교과 프로그램들을 구성해 창업친화적 문화를 조성하고 있다. 이 결과로 2021년, 2022년 중앙일보 대학평가에서 ‘학생창업 지원 및 성과’ 부분 전국대학 각 5위 및 7위, 2021년 ‘재학생당 창업지원금’ 전국대학 1위, 중소벤처기업부가 지원하는 메이커스페이스 사업 2년 연속 연차평가 S등급의 성과를 거뒀다.
캠퍼스타운사업으로 지역상생에 기여
광운대는 서울시에서 진행하는 2023년 서울 캠퍼스타운 신규 공모 종합형 사업에 연속 선정돼 노원구와 함께 총 사업비 100억에 달하는 ‘산·학·민·관 협력형 캠퍼스타운 2.0을 통한 동북권 창업밸리조성’을 추진하고 있다. 2016년 1차 단위형 사업을 시작으로 2019년 2차 종합형 사업을 연속해 진행 중이며, 단위형 사업과 종합형 사업의 과정적 성과를 이어 2023~2026년에 걸쳐 창업 생태계 완성을 목표로 한다.
창업 앨리에서 유니콘 밸리(From Start-up Alley to Unicorn Valley) 조성을 실현하는 단계별 전략을 통해 캠퍼스타운사업 7년간 축적된 광운대만의 기술창업역량을 바탕으로 창업기업 육성, 창업인재 양성, 지역활성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노원구와의 재정연계를 통해 지역 축제 및 지역상권 활성화 프로그램도 추진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동북권 산학협력 거점으로 자리를 굳혀 GTX-C 노선 개통, 창동상계 신경제 중심지 개발, 광운대 역세권 개발과 연계한 광운대 캠퍼스타운 사업은 노원구의 경제적 활력과 일자리 창출을 통해 지역상생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첨단·융합 미래시대 선도하는 교육과 연구
광운대는 반도체 특성화를 통해 광운대의 특성과 강점을 반영한 다양한 반도체 인재 양성 모델을 실현해 나갈 예정이다. 이를 위해 반도체시스템공학부, AI로봇전공 등 학사구조를 개편하고 신설 학과 개설을 통해 정부의 반도체 인력 수요 현황에 따른 요구를 수용해 반도체 분야 특성화 인재를 육성하는 등 선제적으로 대응할 예정이다.
광운대는 인공지능 분야 교육 강화를 주요 추진 방향으로 AI로봇 및 데이터애널리틱스, AI·SW융합 분야 특성화 등 교육을 활성화하고 연계전공을 운영하는 등 인공지능 관련 대학 및 전공 신설, 교과과정 개편을 비롯해 실질적인 SW전공자들의 취업률 향상 프로그램 운영, 국내외 권위 있는 인공지능 관련 경진대회 수상 프로젝트 운영, 산업계 교과과정 운영 참여 등을 대폭 확대하는 사업을 계획 및 진행하고 있다.
학생이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프로그램

광운대는 ‘참빛설계학기’ ‘KW-VIP Project’ 등 획일화된 강의식 수업에서 벗어나 학생들이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방식의 다양한 프로젝트 기반 학습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다.
광운대의 ‘참빛설계학기’와 ‘KW-VIP Project’는 학생이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방식의 프로젝트 기반 학습 프로그램이다. ‘참빛설계학기’는 학생 스스로 창의적인 프로젝트를 설계하고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기획한 활동을 수행해 학점을 인정받는 제도다. ‘문제해결역량 강화 워크숍’ ‘팀빌딩’ 등 학교 차원에서 다각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KW-VIP(Vertically Integrated Project: 다학년 다학기 프로젝트)’는 교수가 주도하는 연구 프로젝트에 학부생이 참여해 여러 학년의 학생들이 한 팀을 이루고 대학원생이 멘토 역할을 하며 장기간 진행된다. 학생은 전공 분야의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함으로써 특정 연구 분야에 대해 심화학습을 할 수 있으며, 실제적인 과제를 수행하며 부딪치는 다양한 경험을 통해 전문성을 계발하고, 이런 경험은 대학원 진학 및 취창업으로 연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