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JY표 ‘반도체 양병’…울산·대구·광주에 계약학과, 연 100명 배출

중앙일보

입력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지난달 충남 삼성전자 천안캠퍼스를 찾아 패키지 라인을 둘러보고 사업전략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 삼성전자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지난달 충남 삼성전자 천안캠퍼스를 찾아 패키지 라인을 둘러보고 사업전략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 삼성전자

삼성전자가 울산과기원(UNIST)·대구과기원(DGIST)·광주과기원(GIST) 등 지방 과학기술원과 손잡고 ‘반도체 양병(良兵)’ 확대에 나선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지역 사회와 함께 성장해야 한다. 어렵고 힘들 때일수록 더 과감하고 적극적으로 미래를 준비하자”고 강조했던 만큼, 이번엔 ‘지역 인재 인프라 구축’에 방점이 찍혀 있다. 국가 반도체 생태계 강화와 지역 균형 발전을 함께 고려하겠다는 포석이다.

27일 삼성전자는 UNIST·DGIST·GIST와 각각 반도체 계약학과 신설에 대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국내 첫 학·석사 통합 반도체 계약학과로 5년 과정이다. 올 하반기 신입생을 모집해 내년 3월 입학하며, 연간 모집 인원은 총 100명(UNIST 40명, DGIST·GIST 각 30명)이다.

송재혁 삼성전자 DS(반도체)부문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이번 계약학과 신설로 대구·광주·울산에도 반도체 인재를 체계적으로 육성할 수 있는 거점을 마련하게 됐다”며 “반도체 강국이라는 위상에 걸맞은 인재를 지속 확보하고 지역 균형 발전을 이루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들은 졸업과 동시에 삼성전자 DS부문 취업이 보장된다. 재학 중엔 등록금 전액을 삼성전자가 부담하고, 소정의 장학금을 지급한다. 반도체 분야에서 미세화 한계 돌파를 위한 ‘공정 기술’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만큼, 커리큘럼은 반도체 공정 제어 기술 위주로 짜였다. 반도체 클린룸 실습이나 인턴 등 현장 중심 교육을 하며, 설계와 소프트웨어(SW) 창의성을 키울 수 있는 융합 수업도 병행한다. 삼성전자 직원이 멘토로 나서 학생들이 이론과 실무 역량을 두루 갖출 수 있도록 도울 예정이다.

삼성전자가 27일 광주 북구 광주과학기술원에서 광주과학기술원(GIST)과 반도체 계약학과 신설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왼쪽부터) 조정희 GIST 대학장, 이형석 국회의원, 박래길 GIST 총장직무대행, 송재혁 삼성전자 DS부문 CTO 사장, 양향자 무소속 의원, 강기정 광주광역시장, 박승희 삼성전자 CR담당 사장. 사진 삼성전자

삼성전자가 27일 광주 북구 광주과학기술원에서 광주과학기술원(GIST)과 반도체 계약학과 신설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왼쪽부터) 조정희 GIST 대학장, 이형석 국회의원, 박래길 GIST 총장직무대행, 송재혁 삼성전자 DS부문 CTO 사장, 양향자 무소속 의원, 강기정 광주광역시장, 박승희 삼성전자 CR담당 사장. 사진 삼성전자

반도체 산업이 급성장하며 세계는 ‘고급 반도체 인력 모시기’에 열을 올리고 있다. 미국은 스템(STEM, 과학·기술·엔지니어링·수학) 분야 유학생 취업을 확대하고, 중국·대만은 관련 학과 신설이나 산학협력 규제를 완화했다. 반도체산업협회에 따르면 국내 인력 수요는 2021년 17만7000명에서 2031년 30만4000명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하지만 현재 국내에서 배출되는 관련 인력은 고졸(실업계고) 1300명, 전문학사 1400명, 학사 1900명, 석·박사 430명 등 연 5000명 수준에 불과하다.

삼성은 2006년 성균관대를 시작으로, 연세대·한국과학기술원(KAIST)·포스텍 등과 연 260명 규모의 반도체 계약학과를 운영해왔다. 여기에 이번 계약학과 3곳을 신설함에 따라 설계·SW·공정 등 반도체 핵심 분야의 인재를 골고루 양성할 수 있는 체계가 구축됐다는 게 삼성 측의 설명이다. 기존 계약학과 정원도 확대해 신설학과 학생들이 졸업하는 2029년부터는 매년 7개 대학에서 전문인력을 450명씩 배출한다는 구상이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지역 반도체 전문 인재 육성으로 국내·외 반도체 기업들과 우수 인재들의 ‘수도권 쏠림’이 완화될 것”이라며 “이를 통해 수도권 이외 지역의 반도체 산업 생태계가 함께 성장하는 인재 육성과 산업 성장의 선순환 체계가 실현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