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코로나 때 평균연봉 1294만원 올랐다…'성과급 잔치' 이 업종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셔터스톡

셔터스톡

코로나19 유행 전후 근로자 연평균 임금 총액이 증가했지만 기업 규모와 업종별로 인상액, 인상률이 큰 차이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격차가 커진 요인으로는 성과급 등 특별급여 차이가 지목됐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가 26일 발표한 ‘2022년 기업 규모 및 업종별 임금 인상 특징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상용근로자 연평균 임금 총액은 4650만원으로 코로나 유행 직전 해인 2019년(4200만원) 대비 10.7% 늘었다. 상용근로자는 고용 계약 기간이 정해지지 않거나 1년 이상인 임금 근로자를 말한다.

경총, 규모·업종별 임금 인상 분석 

임금 항목별로 보면 기본급과 수당 등을 포함한 정액급여는 3년 동안 10.3%, 성과급 등 특별급여는 13.6%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정액급여는 2020년 전년 대비 2.2%, 2021년 3.4%, 2022년 4.3%의 인상률을 보였다. 특별급여의 연도별 변동성은 이보다 컸다. 코로나19 유행이 시작한 2020년, 전년 대비 9.9% 감소한 특별급여는 2021년과 지난해 각각 14.3%, 10.4% 인상됐다.

〈코로나 기간 상용근로자 연평균 임금과 인상률〉 자료 한국경영자총협회

〈코로나 기간 상용근로자 연평균 임금과 인상률〉 자료 한국경영자총협회

사업체 규모별 연평균 임금 총액은 300인 미만이 2019년 3795만원에서 2022년 4187만원으로 392만원(10.3%), 300인 이상은 같은 기간 6188만원에서 6806만원으로 618만원(10%) 올랐다. 정액급여 인상 폭은 300인 미만 사업장이 10.5%로 300인 이상(8.1%)보다 더 높았지만 특별급여 인상률은 300인 이상이 15.5%로 300인 미만(8.6%)의 두 배에 가까웠다.

업종별로는 금융·보험업이 2019년 7419만원에서 지난해 8713만원으로 17.5%(1294만원) 올라 가장 높은 인상률과 인상액을 기록했다. 최저치를 보인 업종은 교육서비스업이다. 이 업종은 같은 기간 연평균 임금총액이 4432만원에서 4272만원으로 3.6%(160만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별 비교에서도 특별급여에서 큰 차이가 드러났다. 교육서비스업 정액급여는 최근 3년(2020~2022년) 동안 69만원(-1.8%), 특별급여는 91만원(-19.0%) 감소했지만 금융·보험업은 같은 기간 정액급여 634만원(12%), 특별급여 660만원(31.2%)의 인상액·인상률을 보였다.

이번 분석에는 2019~2022년 사업체노동력조사(근로실태부문) 원시 자료를 활용했으며 대상 업종은 17개였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