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韓 은행권 발행 코코본드 31.5조…“상각조건 달라 파장 제한적”

중앙일보

입력

스위스 크레디트스위스(CS)의 코코본드(조건부자본증권ㆍAT1) 전액 상각 사태 후폭풍이 이어지는 가운데, 국내 은행권의 코코본드 발행 잔액(20일 기준)은 31조5000억원으로 파악됐다.

UBS에 흡수된 크레디트스위스. CNN 화면캡처

UBS에 흡수된 크레디트스위스. CNN 화면캡처

26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융지주가 19조5000억원, 은행이 12조원 규모이며 보험업권에서 이뤄진 코코본드 발행(보험업법 개정으로 7월 1일부터 발행 가능)은 없다.

코코본드는 미리 정한 특정한 발동 요건이 발생할 경우 원금이 상각되거나 보통주로 전환되도록 한 채권이다. 회계상 자본으로 인정되지만, 금융회사 위기 등 특정 상황에서 채권자 동의 없이 상각할 수 있다. CS의 AT1이 '휴짓조각'이 된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다. 실제 CS는 상각 조건 중 하나인 ‘파산하거나 부채의 중요한 금액을 지불할 수 없거나 기타 유사한 상황에 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공공 부문의 자본 지원이 있을 경우’가 발동됐다며 160억 스위스프랑(약 22조5000억원) 규모의 코코본드를 모두 상각했다.

그러나 국내 은행은 CS와 같은 대규모 상각 사태가 벌어질 가능성이 크지 않다는 게 금융당국 판단이다. 국내 코코본드의 상각 사유는 금융당국으로부터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되거나 보통주 자본비율이 5.125% 미만으로 떨어질 경우에 한한다. 하지만 국내 은행의 자기자본비율은 국제결제은행(BIS) 권고치(8%)를 훌쩍 뛰어넘는 15~16% 수준으로 탄탄한 편이다.

특히 CS는 주식 보유자보다 채권 보유자에게 먼저 손실을 부담시켰다는 논란이 제기됐지만, 국내 은행의 코코본드 특약에는 보통주보다 먼저 상각할 수 있는 조건은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또 은행 전체 자본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작다. 금융당국 고위 관계자는 “국내 코코본드 상각 조건엔 CS와 유사한 조항이 포함돼 있지 않고, 은행 전체 자본 250조원 중 코코본드 비중은 5% 정도로 발행 규모 자체도 유럽 대비 작다”고 설명했다.

다만 코코본드에 대한 투자심리 위축과 변동성 확대는 당분간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 24일 독일 프랑크푸르트증시에서 독일 최대 투자은행인 도이체방크는 장중 14% 이상 하락했으며 코코본드 가격도 크게 떨어졌다. 나이스신용평가는 “국내 은행 및 금융지주사의 코코본드 손실 우려는 과도하다”면서도 “글로벌 금융시장의 불안감 심화로 변동성과 투자 심리가 위축된 상황이라 은행 등에 대한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