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쿠킹&푸드] 떡볶이부터 라면까지 한국식 ‘단짠’ 매력 세계인의 입맛 홀리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01면

불고기·비빔밥에 이어 새롭게 떠오른 ‘K-푸드 2.0 분식’


해외 한류 조사서‘음식’이 최고점
작년 농수산식품 수출 사상 최대
미국 내 떡볶이 전문점이 생기고
글로벌 시장서 ‘한국 라면’ 열풍

우리는 왜 분식을 좋아할까. 일단 빠르다. 종류도 다양하다. 떡볶이·치킨·라면·김밥·핫도그 등 간식으로 더할 나위 없으며 끼니로도 손색없다. 중독성 있는 맛도 빼놓을 수 없다. ‘단짠’의 발란스는 입맛을 돋우고 매운맛은 기분을 좋게 한다. 한국인이라면 싫어하기 어려운 맛의 총집합이다. 그런데, 한국인 한정인 줄 알았던 분식의 인기가 최근 심상치 않다. SNS에는 줄 서서 먹는다는 영국, 프랑스, 미국의 분식집 이야기가 넘쳐난다. TV 예능 프로그램은 저 멀리 멕시코의 바칼라르까지 날아가 한국 분식집을 차렸을 정도다.

지난 10일 문화체육관광부가 발표한 2023년 해외 한류 실태조사(2022년 기준)를 보면 K-푸드의 인기를 실감할 수 있다. K-콘텐트의 인기와 잠재력을 알 수 있는 브랜드파워 지수(Brand Power Index)는 58.8점인데, 그중에서 음식이 66점으로 뷰티(62.3점), K팝(61.7점) 등을 제치고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수출 실적도 이를 증명한다. 지난해 우리나라 농수산식품 수출액은 전년 대비 5.3% 증가한 120억 달러(약 15조 원)로 사상 최대 실적을 냈다. 전문가들은 입을 모아 K-푸드의 새로운 서막이 열렸다고 말하는데, K푸드 2.0의 주인공은 ‘분식’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K-푸드의 대표주자로 손꼽히는 ‘떡볶이’

한국인의 소울푸드 떡볶이가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잡았다. K-콘텐츠를 접하다 생긴 호기심이 바로 구매로 이어질 수 있도록 체계적인 유통망을 갖춘 덕이다. 유통기한 문제를 기술로 해결한 것도 주요했다.

한국인의 소울푸드 떡볶이가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잡았다. K-콘텐츠를 접하다 생긴 호기심이 바로 구매로 이어질 수 있도록 체계적인 유통망을 갖춘 덕이다. 유통기한 문제를 기술로 해결한 것도 주요했다.

2009년 정부는 한식 세계화를 선포하고 대표 음식으로 김치, 비빔밥, 막걸리와 함께 떡볶이를 선정했다. 떡볶이 분야에만 5년간 140억을 투자하겠다는 야심 찬 계획으로 떡볶이 연구소까지 열었다. 하지만 연구소는 1년 뒤 문을 닫았고 떡볶이 세계화는 실패했다. 당시 전문가들은 외국인에게 낯설 수밖에 없는 떡의 식감, 국가별로 다른 매운맛의 선호도, 인프라 부족, 짧은 유통기한을 문제로 꼽았다.

14년이 지난 지금, 떡볶이는 K-푸드의 대표주자로 손꼽힌다.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가 발간한 ‘2021 가공식품 세분시장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즉석조리식품 수출액은 3493만 달러(약 416억 4000만 원)다. 2016년 대비 323.1% 증가했다. 특히 떡볶이 수출액이 전년 대비 56.7% 증가했고, 가정간편식 중에 가장 높은 상승세를 보였다.

그사이 무엇이 달라졌을까. 지난 3일 미국 NBC의 미국 내 떡볶이 열풍에 관한 보도를 보면 그 이유가 보인다. 보도에 따르면 떡볶이는 미국의 대형마트에서 기성품으로 팔리고 있고 인터넷으로도 구입할 수 있으며, 떡볶이 전문점도 등장했다고 설명한다. 또 방탄소년단(BTS) 멤버 지민이 서울의 식당에서 떡볶이를 즐기는 모습을 SNS에 노출한 것도 확산에 일조했다고 분석했다.

결국, K-콘텐트를 접하다 생긴 호기심이 구매로 이어질 수 있도록, 유통망이 잘 갖춰졌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 유통망의 확장은 제품의 품질이 뒷받침되어야 가능하다. 실제로 국내 F&B 기업들은 그동안 짧은 유통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떡볶이의 신’으로 해외 떡볶이 인기를 주도하고 있는 동원F&B의 경우 글로벌 식품안전시스템인증(FSSC22000) 등의 기준에 맞춰 상온에서도 10개월까지 유통할 수 있게 제품을 개발한 덕에 여러 유통채널에 들어갈 수 있었다. ‘떡볶이의 신’은 2018년 11억 원 규모에서 2021년 200억 원까지 급격히 성장했다.

맛 보장 제품으로 통하는 ‘한국 라면’

라면의 원조는 중국이다. 오늘날 인스턴트 라면의 모습은 일본에서 만들어졌다. 하지만, 최근 글로벌 시장을 쥐락펴락하는 건 ‘한국 라면’이다. 그 시작은 2015년으로 추정된다. 유튜브 채널 ‘영국남자’에서 시작된 불닭 볶음면 챌린지가 SNS에서 큰 인기를 얻은 덕이 크다. 2019년에는 영화 ‘기생충’의 황금종려상 수상에 힘입어 채끝살 구이를 올린 짜파구리(짜파게티+너구리) 열풍이 불었고, 최근엔 국물 라면까지 두루 사랑받는 추세다.

수출액 또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관세청에 따르면 라면 수출액은 2015년 2억1900만 달러에서 기생충 열풍이 불었던 2019년에는 4억7000만 달러, 2021년 6억7000만 달러, 지난해에는 7억6543만 달러(9453억 원)를 달성했다. 8년간 3.5배 성장한 셈이다. 이런 성장세라면 일본이 꽉 잡은 미국 라면 시장도 조만간 추월할 것으로 보인다. 또 동남아 시장에서도 한국 라면은 ‘맛 보장 제품’으로 통하며 빠르게 시장 점유율을 높이는 중이다.

앞으로가 기대되는 시장도 있다. 멕시코를 비롯한 중남미 지역인데 동남아처럼 매운맛에 거부감이 적다. 현재는 일본의 저가 라면이 점령하고 있지만, 맛과 품질이 모두 뛰어난 한국 라면이 진출했을 때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확률이 높아 보인다. 지난해 미국에 제2공장을 가동하며 북미 시장에서 전년 대비 18% 성장이라는 실적을 거둔 농심은 해당 공장을 거점으로 중남미 시장 공략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