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자살 예방 위해 대통령실 직속 생명위원회 설치해야”

중앙일보

입력

한국생명운동연대는 23일 국회에서 강기윤 의원실과 공동으로 제3회 ‘삶이오(3월 25일) 생명존중의 날’ 기념식과 생명문화 전문가 100분 토론회를 개최했다.

한국생명운동연대는 23일 국회에서 강기윤 의원실과 공동으로 제3회 ‘삶이오(3월 25일) 생명존중의 날’ 기념식과 생명문화 전문가 100분 토론회를 개최했다.

한국생명운동연대는 23일 국회에서 강기윤 의원실과 공동으로 제3회 ‘삶이오(3월 25일) 생명존중의 날’ 기념식과 생명문화 전문가 100분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강기윤ㆍ서정숙 의원, 이기일 보건복지부 1차관, 김대남 대통령실 시민소통비서관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기조강연을 맡은 박인주 전 사회통합수석은 자살문제 해결을 위한 민관협력주의 모형 채택, 국가의 책임성 강화 차원에서 현재 한 해 546억원인 자살예방예산 대폭 증액, 대통령 직속 생명위원회 구성 등 7대 과제를 발표했다.

이어진 토론회에서는 조성철 생명연대 상임대표가 좌장을 맡았다. 황태연 생명존중희망재단 이사장은 청년 자살예방을 위해 온ㆍ오프라인 찾아가는 상담 서비스 확대, 학생 발달단계에 맞는 자살예방ㆍ생명존중교육 강화 필요성을 강조했다. 기선완 자살예방협회장은 코로나 사태에 이은 경기 침체가 취약계층의 극단적인 선택을 부추길 수 있다며 자살위기 대상자 발굴과 긴급 재정 지원 등이 절실하다고 밝혔다. 이범수 동국대 교수는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종교ㆍ민간단체가 노인복지시설, 여가시설, 정신보건시설, 행정기관 등의 사회경제적 자본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유기적으로 협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예수의 꽃동네 신상현 수사는 최근 잇따른 자녀 살해 뒤 자살 사건과 관련 “생명은 그 누구도 어떤 이유로도 생명을 해칠 수 있는 권한이 없고, 아동들은 마땅히 보호받아야 하며, 부모라도 자녀의 생명을 함부로 해선 안된다”라고강조했다. 양두석 안실련 자살예방센터장은 “자살유가족은 자살위험이 일반인보다 8배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있다”라며 “자살 유가족에 경찰, 전문상담사, 법률전문가, 지자체가 원스톱으로 지원하는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이두리 보건복지부 자살예방정책과장은 “자살위험요인 감소, 사후 관리 강화, 대상자 맞춤형 자살예방, 효율적 자살예방 추진기반 강화 등 자살예방 정책을 추진하겠다”라고 밝혔다. 생명연대는 이날부터 9월 10일까지 국민들의 생명존중의식을 높이기 위해 생명존중서약을 받기로 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Innovation La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