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삼성바이오 존 림 대표 "올해 글로벌 톱20 모두와 계약 맺을 것"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5면

지난 21일(현지시간) 2023 디캣 위크(DCAT Week) 참석차 미국 뉴욕에 머물고 있는 존림(62)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를 만났다. 그는 "삼성바이오로직스를 무시했던 글로벌 제약사가 CMO 사업에 뛰어들고 있다"고 말했다. 강기헌 기자

지난 21일(현지시간) 2023 디캣 위크(DCAT Week) 참석차 미국 뉴욕에 머물고 있는 존림(62)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를 만났다. 그는 "삼성바이오로직스를 무시했던 글로벌 제약사가 CMO 사업에 뛰어들고 있다"고 말했다. 강기헌 기자

“처음엔 시장에서 ‘과연 쟤네들이 (할 수 있을까)’라며 의문을 가졌지요. 성과를 입증하고 나니 이제는 글로벌 제약사도 의약품 위탁생산(CMO) 사업에 뛰어들고 있습니다.”

존 림(62)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는 21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열린 ‘2023 디캣 위크(DCAT Week)’ 행사장에서  중앙일보와 만나 이렇게 했다. 지난해 사상 최대인 3조원대 매출을 올리는 등 최근 실적이 수직 상승하면서 그의 목소리엔 자신감이 묻어났다. 디캣 위크는 1890년 뉴욕 상공회의소 주관으로 시작한 바이오·제약 전시회로, 올해는 글로벌 제약사 700여 개 참여해 20~23일 뉴욕 인터콘티넨털 바클레이 호텔에서 열린다. 삼성바이오로직스(삼성바이오)는 이번 행사에서 인천 송도 5공장 건설 계획을 공개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송도 5공장 건설이 갖는 의미는.
바이오 의약품 시장은 수요는 많지만 공급은 부족하다. 빠른 속도로 생산량을 늘리고 글로벌 제약사와 장기 계약하는 게 핵심이다. 글로벌 바이오 기업 중에서 삼성바이오만큼 짧은 시간에 많은 공장을 짓고, 운영 경험을 축적한 회사가 없다. 4공장을 계획보다 6개월을 앞당겨 준공한 것처럼 5공장도 짧은 시간에 효율적으로 건설할 것이다.
지난해 10월 4공장을 준공했다. 삼성바이오를 바라보는 시선이 달라졌음을 느끼나. 
처음에 23개월 만에 공장을 짓겠다고 하니 글로벌 제약사 사이에선 믿을 수 없다는 분위기였다. 하지만 공장을 짓고 나니 ‘23개월 만에 해내네’로 달라졌다. 해외 기업은 절대로 이렇게 못 한다.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이번 디캣 위크를 관통하는 키워드는 의약품 CMO와 위탁개발(CDO)였다. 삼성바이오와 경쟁하는 중국 우시바이오, 미국 피셔 등은 행사 첫날부터 대규모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CMO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이제는 공장을 지으면서 동시에 수주에 나선다. 이곳에 온 것도 수주 때문이다. 2020년에는 글로벌 톱 20위 제약사 중 3곳과 계약했는데 지난해에는 12곳으로 늘었다. 올해 20개사 모두와 공급 계약을 맺는 게 목표다.
글로벌 제약 산업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나.
최근에는 암과 알츠하이머, 노화 방지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 알츠하이머 치료제가 승인을 받은 게 대표적이다. 고령화를 피할 수 없기에 의약품 시장은 성장할 수밖에 없다. CMO 시장은 매년 10%씩 성장할 것으로 본다. 글로벌 제약 시장 규모가 대략 1400조원인데 여기서 한국 기업의 점유율은 3%에 불과하다. 
지난 21일(현지시간) 2023 디캣 위크(DCAT Week) 참석차 미국 뉴욕에 머물고 있는 존 림(62)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가 질문에 답하고 있다. 강기헌 기자

지난 21일(현지시간) 2023 디캣 위크(DCAT Week) 참석차 미국 뉴욕에 머물고 있는 존 림(62)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가 질문에 답하고 있다. 강기헌 기자

2020년 매출 1조원을 처음으로 넘어선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지난해 매출 3조원을 달성했다.〈그래픽 참조〉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2927억→9836억원으로 늘었다. 림 대표는 이 같은 급성장 비결에 대해 “직원들의 힘”이라고 짧게 답했다. “직원들의 실행력에 깜짝 놀란다. 송도 4공장은 코로나19가 한창이던 시기에 준공을 6개월을 앞당겼다. 그것 자체로 대단한 거다. 그게 한국인의 특별한 유전자(DNA)인지, 삼성의 DNA인지 잘 모르겠지만, 확실히 다른 데가 있다.”

2020년 대표에 취임하면서 ‘원팀(One Team)’을 강조했다. 
공장이야 돈만 있으면 지을 수 있는데 인력 양성은 그렇지 않다. 임직원 50명에서 시작한 회사가 지금은 5500명으로 늘었다. 좋은 인력을 빨리 양성하고, 또 이들이 열심히 일해서 이런 성과를 낸 거다.
국내 경쟁사와 인력 유출 분쟁도 있었다. 법적 분쟁 이후 달라진 게 있나.
공장 설계도와 같은 민감한 정보를 더 특별하게 관리하고 있다. 삼성전자의 관리 프로세스를 들여오기도 했다.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디캣 위크 직전인 이달 19일 미국 뉴저지에 영업 사무소를 열었다. 2020년 개소한 샌프란시스코 의약품 위탁개발 연구소에 이어 두 번째 북미 오피스다. 림 대표는 북미 시장에 주력하는 이유에 대해 “글로벌 제약 시장에서 50%를 차지하는 만큼 중요한 시장”이라고 강조했다.

경쟁사는 북미 공장을 짓고 있다. 삼성바이오는 어떤가. 
아직 한국 (공장) 경쟁력이 더 크니까 미국에 공장을 지어야 할 이유는 없다. 
코로나19 이후 글로벌 제약사 간 인수합병이 활발하다. 계획한 게 있나.
인수합병을 통해 사업 분야를 확장하는 건 제약업에서 아주 당연한 거다. 계속 고민은 하고 있다. 그렇다고 무턱대고 진행할 수는 없다. 
글로벌 제약사와 비교해 국내 제약사가 가장 뒤지는 게 신약 개발이다.
그게 중요하다. 우리도 신약 개발을 할 거다. 그동안 (국내 제약사가) 라이선스를 들여와서 사업을 했지 신약으로 매출을 올린 게 거의 없다. 앞으로는 그걸 만들어 내야 한다. 근데 한국이 또 그런 걸 잘한다. 반도체도 시작은 미국이었는데 지금은 한국이 더 잘 만든다. 우리가 조금 늦게 시작했을 뿐이다.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