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급증하는 새 아파트 빈 집…10채 중 4채는 불 꺼졌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대구시 수성구에 사는 김모(45)씨는 올해 새 아파트 입주를 앞두고 고민이 많다. 수성구가 ‘대구의 강남’으로 불리고 있지만 집이 도통 팔리지 않아서다. 김씨는 “새 아파트 정식 입주기한(통상 두 달)이 지나 연체료를 내는 상황”이라며 “어제는 새로 장만한 아파트의 불 꺼진 창을 한참 보다 돌아왔다”고 말했다.

주택시장에 빈집이 늘고 있다. 세계적 경기 침체와 기준금리 인상이 맞물려 기존 주택이 안 팔리거나 세입자를 구하지 못해 새 아파트에 입주하지 못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미분양까지 계속 쌓이고 있어 빈집 문제는 더욱 심각해질 것으로 보인다.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22일 주택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아파트 입주율은 63.3%로 전월 대비 3.3%포인트 하락했다. 이는 주택산업연구원이 관련 조사를 시작한 2017년 4월 이후 역대 최저치다. 올해 2월 입주를 시작한 단지 중 10채 가운데 4채 정도가 빈집이란 의미다. 정부가 전매제한 기간을 완화하고 청약 시 기존 주택 처분 의무를 폐지하는 등 규제를 완화했지만,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대출비용 부담 증가로 세입자를 구하기가 더 어려워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아파트 입주율은 집값이 급등하던 시기엔 80%대까지 상승했지만, 기준금리가 2%대로 오른 지난해 7월(79.6%) 이후 하락세를 보인다. 지난해 11월(66.2%) 조사에선 처음으로 60%대로 떨어졌고 지난달엔 역대 최저치로 주저앉았다.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특히 지방 주택시장의 침체가 전국 아파트 입주율을 끌어내렸다. 지난 1월 60%였던 강원권 아파트 입주율은 지난달 52%로 떨어졌다. 같은 기간 대전·충청권(66.5%→59.7%), 광주·전라권(61.6%→59.3%), 대구·부산·경상권(64.9%→62.7%) 등에서 입주율이 모두 하락했다. 새 아파트에 제때 입주하지 못하는 원인 중 가장 큰 것은 기존 주택매각 지연(44.4%)이고 이후 세입자 미확보(33.3%), 잔금 대출 미확보(14.3%), 분양권 매도 지연(1.6%) 순으로 조사됐다.

지방의 경우 ‘급급매물’로 내놓지 않으면 매수세가 붙지 않는다. 부동산 빅데이터 업체 아실에 따르면 대구시 수성구 만촌동 ‘만촌삼정그린코아에듀파크’ 전용면적 75㎡는 2020년 10월 13억9000만원에 계약되면서 신고가를 기록했지만 지난 3일 절반 가까이 하락한 6억9500만원에 손바뀜했다.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부동산 시장 연착륙을 위해 규제 완화에 적극적이지만 지방의 경우 미분양 적체가 심해 당장 활로를 찾기가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대구 미분양 물량은 1만3565가구(1월 말 기준)다. 지난 1월 말 기준 전국의 미분양 주택은 7만5359호로, 10년2개월 만의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와 관련,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은 지난 21일 한 심포지엄에 참석해 “미분양 물량 10만 호까지는 예측 내지 각오하고 있다”고 밝혔다.

주택산업연구원 조강현 연구원은 “최근 대대적인 규제 완화로 수도권 인기 지역부터 주택가격 하락세가 둔화하고 거래량이 회복되는 추세지만 지방 주택시장은 여전히 침체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