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창립 85주년을 맞은 삼성그룹 계열사들의 지난해 전체 매출이 사상 최초로 400조원을 넘어섰다.

21일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본사에 사기가 펄럭이고 있다. 삼성은 글로벌 경기 침체와 반도체 시황 급락 등 어려운 경영 환경 등을 고려해 오는 22일 창립기념일 때 별도의 대외 행사를 열지 않기로 했다. 뉴스1
한국CXO연구소가 이날 공개한 '주요 삼성 계열사 2022년 매출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삼성전자 등 주요 계열사 20곳의 작년 한 해 매출 규모는 402조원 수준으로 파악됐다.
삼성 계열사 60곳 중 지난 20일까지 감사보고서·사업보고서 등을 통해 매출이 확인 가능한 20곳을 조사한 결과다.
연구소는 아직 사업보고서 등이 공시되지 않은 40개 계열사까지 합치면 415조∼420조 원대의 매출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그룹의 핵심 기업인 삼성전자의 지난해 매출은 211조8674억원으로 전년(199조7447억원)보다 6.1% 늘었다. 연결 기준으로는 지난해 302조2313억원의 매출을 올려 처음 300조원을 넘어섰다.
그룹 내에서 10조원 이상 매출을 올린 계열사는 삼성전자를 포함해 총 7곳이었다. 삼성생명(34조4850억원), 삼성디스플레이(30조7794억원), 삼성물산(26조4065억원), 삼성화재(25조2109억원), 삼성SDI(17조4582억원), 삼성증권(13조1220억원)이 '10조 클럽'에 이름을 올렸다.
조사 결과 지난해 1조원 이상 매출을 올린 삼성 계열사 가운데 전년 대비 매출이 10% 이상 상승한 기업은 9곳이다. 특히 삼성SDI가 지분을 100% 보유한 에스티엠(STM)의 지난해 매출(1조114억원)은 전년(4558억원)보다 121.9% 급증했다. STM은 2차전지 소재 등을 제조·판매한다.
삼성바이오로직스(55.4%), 삼성SDI(50.7%), 삼성증권(35.8%), 삼성엔지니어링(31.2%), 호텔신라(26.2%), 제일기획(25.9%), 삼성물산(25%), 삼성생명(15.8%) 등은 1년 새 매출이 10% 넘게 늘었다. 반면 삼성중공업은 10.5%, 세메스는 7.6% 각각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