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한강 기적' 기여한 삼표레미콘 성동공장...첨단산업 거점 된다

중앙일보

입력

오세훈 서울시장이 16일(현지시간) 아일랜드 더블린 도크랜드 현장에서 관계자 설명을 듣고 있다. [사진 서울시]

오세훈 서울시장이 16일(현지시간) 아일랜드 더블린 도크랜드 현장에서 관계자 설명을 듣고 있다. [사진 서울시]

1977년 준공 이후 ‘한강의 기적’ 등 서울 근대화에 기여했던 성동구 삼표 레미콘공장 부지(삼표 부지)가 첨단산업 거점으로 다시 태어난다. 쇠락한 항구도시에서 첨단 자족도시로 우뚝 선 아일랜드 독 랜드가 모델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16일(현지시각) 아일랜드 더블린 독 랜드 소재 ‘그랜드 커널 독 지구’를 방문한 뒤 이런 계획을 밝혔다. 독 랜드는 약 529만㎡(160만평) 규모로 리피강 동쪽 끝 항구 근처에 있다. 20세기 초까지 세계 최대 항구였다. 하지만 수심이 낮아 대형 선박 등장 이후 점차 외면받으며 쇠락했다.

쇠퇴했던 아일랜드 항구, IT 중심지로

독 랜드는 1987년 도심재생사업을 시작했다. 도시계획을 촘촘히 세우고 민관 협력을 통해 금융· 정보기술(IT) 기업을 하나둘 유치했다. 이제는 구글·애플·메타 등 내로라하는 IT기업이 몰려있다. 이 때문에 제2의 실리콘밸리란 의미인 ‘실리콘 독(silicon dock)’으로 부른다.

이곳엔 세계적인 건축가 다니엘 리베스킨트가 디자인한 극장이 있다. 2010년 3월 개관한 이 극장은 연극무대 등 연간 330여개 행사가 열린다. 또 최대 8000만명을 수용할 수 있고, 전시회나 주요 발표·토론회가 열리는 컨벤션 센터가 있다. 이 컨벤션 센터 외관은 곡선 형태 유리 벽으로 돼 있는데, 기네스 맥주로 유명한 아일랜드인 만큼 파인트 맥주잔 모습을 띠고 있다고 한다.

16일(현지시간) 아일랜드 더블린에 있는 '컨벤션 센터 더블린' 모습. 곡선 형태의 유리 벽은 맥주잔 모양을 띠고 있다고 한다. 더블린(아일랜드)=나운채 기자

16일(현지시간) 아일랜드 더블린에 있는 '컨벤션 센터 더블린' 모습. 곡선 형태의 유리 벽은 맥주잔 모양을 띠고 있다고 한다. 더블린(아일랜드)=나운채 기자

아일랜드 더블린 소재 '그랜드 커널 독' 지구의 과거 모습과 현재 모습을 비교한 사진. [페이스북 캡처]

아일랜드 더블린 소재 '그랜드 커널 독' 지구의 과거 모습과 현재 모습을 비교한 사진. [페이스북 캡처]

吳 “최첨단 기업 부지로 활용 결정”

오 시장은 독 랜드 지구 관계자와 더블린 시의회 의원 등과 동행하며 리피강을 따라 커널 독 지구를 살폈다. 오 시장은 “낙후된 곳을 잘 개발해서 최첨단 기업들이 몰려 들어올 수 있는 기반을 잘 만든 느낌”이라며 “서울에도 그와 유사한 장소가 있다”며 삼표 부지를 지목했다. 이어 “최첨단 기업이 활발하게 기업 활동할 수 있는 부지로 활용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삼표 부지에 대한 구체적인 활용 방안이 나온 것은 처음이다.

지난해 8월16일 오후 서울 성동구 삼표레미콘 공장에서 막바지 철거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해 8월16일 오후 서울 성동구 삼표레미콘 공장에서 막바지 철거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연합뉴스]

근대화 주역에서 첨단산업 거점으로

서울시는 삼표 부지에 기술과 광고·미디어·인포메이션웹 등 이른바 ‘TAMI(Technology·Advertising·Media·Information)’ 첨단산업 기업이 모이도록 할 생각이다.

먼저 IT 등 기업이 입주할 타워형 건물을 건립한다. 이름은 ‘글로벌 퓨처 콤플렉스(GFC)’로, 국제 공모를 통해서 해외 유명 건축가를 초청해 건물을 디자인하기로 했다. 기업 유치뿐만 아니라 저층부와 최상층을 개방해서 시민이 자유롭게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도 활용한다. GFC를 단순 건축물이 아닌 삼표 부지·성수 일대 구심점 역할을 할 랜드마크로 활용하겠단 계획에서다.

이를 위해 삼표 부지 일대를 1종 일반주거지역에서 일반상업지역으로 바꿔 용적률을 완화할 방침이다. 서울시는 용도를 변경해주는 대신 사업자로부터 6000억 원대 공공기여금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오 시장은 “삼표 부지와 함께 그 옆(인근)을 봐야 한다”며 “주변 자연경관과 주거·업무·여가 공간까지 어우르는 큰 그림을 그리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난해 5월19일 오전 서울 성동구 서울숲. [연합뉴스]

지난해 5월19일 오전 서울 성동구 서울숲. [연합뉴스]

인근 서울숲엔 덮개 공원·보행교 조성

이와 함께 서울시는 한강과 중랑천이 합류하는 입지적 특성을 고려해서 GFC와 인근 서울숲을 명소로 만들겠단 계획이다. 도로 위에 도심과 한강 강가를 연결하는 ‘덮개 공원’이나 보행교 등을 조성하는 방안이 거론된다. 독 랜드 사례를 참고해서 서울숲에 전시회나 콘퍼런스 등을 열 수 있는 공간을 조성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한편 삼표레미콘 성수 공장은 하루 최대 7000㎥의 레미콘을 생산했다. 보통 아파트 3.3㎡(1평)당 레미콘 1㎥가 들어가는 점을 고려하면 79.3㎡(24평) 아파트 7만3000여 가구를 지을 수 있는 물량이다. 공장은 지난해 철거하고 부지는 비어있다.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